일개 대학 치위생학과의 치과의료커뮤니케이션 교육 과정 타당성에 관한 사례연구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양적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여 정규치위생(학)과 교육과정에서 운영 중인 치과의료커뮤니케이션 교육내용에 대한 질적 평가를 통해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치과의료커뮤니케이션 교과목은 인문사회학적 소양을 기반으로 한 전문가적 태도로 진료실에서의 환자와의 커뮤니케이션 역량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치과위생사로서의 전문가적인 수행 및 태도를 함양하기 위해 자기이해를 통해 전문가적 태도를 함양하여 환자들과 소통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교육내용으로 구성하였다. 교육내용의 타당도는 전문가 3인에게 기재된 타당도 평가지를 제공하...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Chiwisaeng gwahakoeji 2017, 17(4), , pp.306-314
Hauptverfasser: 최용금, Yong-keum Choi, 배수명, Soo-myoung Bae, 신보미, Bo-mi Shin, 손정희, Jung-hui Son, 박덕영, Deok-young Park, 최진선, Jin-sun Choi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이에 본 연구에서는 양적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여 정규치위생(학)과 교육과정에서 운영 중인 치과의료커뮤니케이션 교육내용에 대한 질적 평가를 통해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치과의료커뮤니케이션 교과목은 인문사회학적 소양을 기반으로 한 전문가적 태도로 진료실에서의 환자와의 커뮤니케이션 역량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치과위생사로서의 전문가적인 수행 및 태도를 함양하기 위해 자기이해를 통해 전문가적 태도를 함양하여 환자들과 소통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교육내용으로 구성하였다. 교육내용의 타당도는 전문가 3인에게 기재된 타당도 평가지를 제공하여 검토를 의뢰하였다. 주차별 교육내용 및 교육시기에 대한 타당도는 최소 4점, 최대 5점으로 전반적으로 타당하다는 평가와 인증평가 기준에도 합당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해당학년 수준에 맞는 학습내용으로 구성하되, 1개 학기에 그치는 교육과정이 아니라 단계적, 연계성을 갖고 이론과 실습 학습에 노출될 수 있는 부분이 보완되어야 한다고 분석하였다. 따라서 본 결과는 향후 치위생(학)과 커뮤니케이션 역량 달성을 위한 학습목표 및 교육내용을 개발하고, 향후 치과의료커뮤니케이션 교육과정 표준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content of an educational curriculum by understanding the opinions of experts in the development of weekly educational content for dental communication or communication-related subjects. It was composed of educational content on how to communicate with patients by cultivating a professional attitude through basic contents and a self-understanding of communication. Three experts were asked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educational contents and their appropriateness in order to evaluate the criteria for certification as a dental hygienist. The validity of the weekly educational contents and the period of education were awarded 4 points out of a maximum of 5 points; overall, the curriculum was evaluated to be valid and to be acceptable for use as criteria for certification evaluation. On the other hand, it was confirmed that not only should the contents be made appropriate for the grade level, but it should be complemented so that theoretical and practical learning can be achieved in a gradual and interrelated manner rather than as a one-time curriculum.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considered for use as background data for curriculum development, and for standardization of the communication course in the dental hygiene department.
ISSN:1598-4478
2233-7679
DOI:10.17135/jdhs.2017.17.4.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