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맥류재배지의 바이러스병 발생과 분포

The symptom expressions such as yellowish and mosaic spots in overwintering barley have been considered to be a damage by cold or water. However, it had revealed that the symptom expressions were caused by viruses throughout three year nationwide surveys. Barley yellow mosaic virus (BaYMV), Barley m...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Sigmulbyeong yeon'gu 2004, 10(3), , pp.188-193
1. Verfasser: 박종철,서재환,최민경,이귀재,김형무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The symptom expressions such as yellowish and mosaic spots in overwintering barley have been considered to be a damage by cold or water. However, it had revealed that the symptom expressions were caused by viruses throughout three year nationwide surveys. Barley yellow mosaic virus (BaYMV), Barley mild mosaic virus (BaMMV), and Soil-borne wheat mosaic virus (SBWMV) was detected in 2001-2003 and Barley yellow dwarf virus-MA V (BYDV -MA V) from field samples collected on March in 2003.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showed that the incidence of BaYMV was more than 70% and that of BaMMV and SBWMV was 15.7-37.4% and 0.7-10.1 % in three year surveys, respectively. The incidence of BYDV-MAV was approximately 1 % in 2003 only. The distribution of BaYMV was relatively uniform throughout barley fields in Korea, but the incidence of the virus in Gyunggi Province was as low as 19% compared to 65-85% in the rest of regions. On the other hand, 70% of BaMMV was found to be in the west south regions of Korea, Jeonbuk and Jeonnam Provinces. Taken together, both BaYMV and BaMMV were thought to be dominant casual agents in overwintering barley by either single or mixed infections. Previous survey data for BaYMV from 1994 to 1996 indicated that the incidence of the virus was approximately 40% in Jeonbuk, Jeonnam, and Gyungnam Provinces. Thus, comparing with the results from the recent nationwide survey, the incidence of BaYMV had been rapidly increasing in overwintering barley fields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월동 후 맥류 재배지에서 나타나는 이상 증상으로는 주로 잎에 황화등의 변색과 모자이크성 반점 등이 나타난 것으로 조사되었다. 2001년부터 3개년간 이들 증상엽을 조사한 결과 전국 평균 70% 이상이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이 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월동 후 맥류 재배지에서 나타나는 황화나 변색 등의 이상 증상이 바이러스의 감염에 주로 의해 발생하게 되는 결과를 보였다. 전국일원의 맥류 재배지에서 2001년부터 2003년까지 3개년간 BaYMV, BaMMY, SBWMV와 BYDV-MAV(2003년) 등 4종의 바이러스의 발생율을 조사한 결과 대상 바이러스 중 BaYMV가 가장 높은 감염율을 나타냈다. BaYMV는 조사 3개년 동안 전국 평균 발생율이 각각 75.1%, 71.7% 및 71.1%로 큰 차이 없이 가장 높은 발생율을 보였다. 다음으로는 BaMMV가 20.5%, 37.4%와 15.7%를 보인 반면, SBWMV는 0.7%, 10.1% 및 2.5%의 낮은 발생율을 보였다. BYDV-MAV는 1.1%의 발생율을 보였다 지역별로 조사한 결과 BaYMV가 19.0%의 경기도를 제외하고는 65.5∼85.7%로 전국적으로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aMMV는 전남북 지역에서만 전체 지역 발생율의 약 73%를 차지하여 전남북 지역이 주 발생지로 나타났다. BaYMV의 연차간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결과 '96 이후 최근까지 감염율이 계속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본 시험 결과 국내 맥류 재배지에서 BaYMV가 월동 후 보리의 황화의 주원인이 되며, 또한 전국적으로 가장 우점하는 병해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BaYMV는 최근까지 연차간 발생율이 계속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점차 증가하여 제조 당일에 2.67에서 저장 17일에 2.99로 높아졌다. 7. 키위드레싱의 저장에 따른 색도를 살펴보면 명도(L값)는 저장 3일에 가장 낮은 값을 보였고 녹색도(a값)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오히려 증
ISSN:1598-2262
2233-9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