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지 결핵 환자에서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의 임상적 의의
Background : Bronchial anthracofibrosis is one of the main manifestations of lung disease that is related to woodsmoke inhalation, and it is frequently associated with various pulmonary diseases, such as tuberculo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bronchial a...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2004, 56(5), , pp.495-504 |
---|---|
Hauptverfasser: | , , , , , , ,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Background : Bronchial anthracofibrosis is one of the main manifestations of lung disease that is related to woodsmoke inhalation, and it is frequently associated with various pulmonary diseases, such as tuberculo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bronchial anthracofibrosis in patients with endobronchial tuberculosis. Methods : 63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endobronchial tuberculosis using bronchoscopy,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patients consisted of 12 males and 51 females, having mean age of 59.5 years. The clinical features, radiologic and bronchoscopic findings between the patients with (37) and without (26) bronchial anthracofibrosi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Results : When the patients were older, bronchial anthracofibrosis was more frequent. The endobronchial tuberculosis, which was located at the right middle lobal bronchus, was more frequent in the patients with bronchial anthracofibrosis than in the patients without bronchial anthracofibrosis. In the morphologic types of endobronchial tuberculosis, patients with bronchial anthracofibrosis had more edematous-hyperemic and ulcerative types, while patients without bronchial anthracofibrosis had more active caseating. Conclusion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presence of bronchial anthracofibrosis can possibly influence the locations and morphologic types of endobronchial tuberculosis. 목 적 : 기관지 결핵에서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의 동반 정도와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의 동반 유무에 따른 임상적인 차이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 상 : 2000년 1월부터 2003년 6월까지 호흡기 증상이나 흉부 방사선 사진의 이상 소견으로 기관지 내시경 검사를 받은 환자 가운데 기관지 결핵으로 진단된 63예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의무 기록지를 통한 후향적 분석에서 대상 환자들의 임상적 소견 및 기관지 내시경 소견 등을 조사하였다.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은 기관지내 점막의 다발성 색소 침착이 있거나 엽 기관지 또는 구역 기관지에 색소 침착과 동반된 섬유화성 협착이 있는 경우로 하였다. 성 적 : 대상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59.5세(21-97)였으며, 남자가 12예, 여자가 51예였다.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은 37예(58.7%)였으며, 60세 이상에서 31예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이 동반된 군(37예)에서 동반되지 않은 군(26예)에 비하여 평균 연령 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나무 연기에 대한 장기적인 노출력을 가진 예도 유의하게 많았다. 기관지 결핵의 위치는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이 동반된 군에서 동반되지 않은 군에 비하여 우중엽에 유의하게 많았으며, 기관지 결핵의 형태는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이 동반된 군에서는 부종형(edematous-hyperemic) 및 궤양형(ulcerative)이, 동반되지 않은 군에서는 건락성 괴사형(actively caseating)이 많은 경향이었다. 결 론 : 기관지 결핵은 고령일수록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과 동반되는 경우가 많으며,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의 동반 유무에 따라 기관지 결핵 병변의 위치 및 형태에도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
ISSN: | 1738-3536 2005-618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