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야결손 전 녹내장군과 정상군에서 표준자동시야검사의 변동성 비교

목적: 시야결손 전 녹내장군과 정상군에서 표준자동시야검사의 변동성을 비교하여 표준자동시야검사 변동성의 임상적 의미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시야결손 전 녹내장 환자 37명의 37안(남 19안, 여 18안), 큰 시신경유두함몰이 없는 정상인 30명의 30안(남 14안, 여16안, 대조군)을 대상으로 표준자동시야검사와 빛간섭단층촬영(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을 시행하였다. 표준자동시야검사는 수평, 수직 경계선을 기준으로 상비측, 상이측, 하비측, 하이측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각 구역별로...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18, 59(1), , pp.44-49
Hauptverfasser: 김성인(Sung In Kim), 박혜영(Hae Young Lopilly Park), 박찬기(Chan Kee Park)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시야결손 전 녹내장군과 정상군에서 표준자동시야검사의 변동성을 비교하여 표준자동시야검사 변동성의 임상적 의미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시야결손 전 녹내장 환자 37명의 37안(남 19안, 여 18안), 큰 시신경유두함몰이 없는 정상인 30명의 30안(남 14안, 여16안, 대조군)을 대상으로 표준자동시야검사와 빛간섭단층촬영(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을 시행하였다. 표준자동시야검사는 수평, 수직 경계선을 기준으로 상비측, 상이측, 하비측, 하이측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각 구역별로 변동성을 구하였고, 시야결손 전 녹내장군을 정상군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시야 검사의 변동성은 정상 대조군에 비해 시야결손 전 녹내장군에서 증가하였다(p<0.001). 또한 시야 검사의 변동성과 안압변동과 시신경 섬유층 두께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0.05). 구역별로 본 분석에서는 하이측을 제외한 모든 구역에서 시야결손 전 녹내장군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해 시야 검사의 변동성이 증가하였다(p<0.05). 결론: 시야 검사의 변동성은 정상 대조군에 비해 시야결손 전 녹내장에서 증가하였으며, 망막신경섬유층 결손이 있는 경우 시야검사상 정상이어도 시야 검사의 변동성이 정상인보다 크다. Purpose: To compare the variability of standard automated perimetry (SAP) between patients with preperimetric glaucoma (PPG) and normal control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67 eyes,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groups: 30 eyes, normal controls; and 37 eyes, PPG. All subjects were examined with 24-2 Humphrey static perimetry. The visual field was divided into superonasal, superotemporal, inferonasal, and inferotemporal sectors. The variability of SAP was obtained using the standard deviation of sensitivity points at each location. We compared the variability of SAP between the normal controls and PPG patients. Results: The variability of SAP was higher in the PPG group compared with the normal control group (p < 0.001).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ility of SAP and intraocular pressure fluctuations and retinal nerve fiber layer thickness (both p < 0.05). The variability of SAP in the PPG group was higher (p < 0.05) in all areas except the inferotemporal sector compared with the normal control group. Conclusions: The variability of the SAP increased in PPG patients compared with normal controls, even when the visual field test results were normal. KCI Citation Count: 0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