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교육실천을 위한 성경적 평가의 의미와 원리 탐색

교육 평가는 교육이라는 행위의 의미와 가치를 판단하는 활동으로 개인 차원의 학습평가뿐 아니라 기관의 책무성을 검토하는 기관평가까지 교육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해서 필수적인 교육 활동이다. 본 논문은 기독교교육에서 평가의 의미와 역할이 무엇인지 고찰하여 기독교교육 현장 실천가들의 평가에 대한 이해를 돕고 성경적 원리에 기초한 교육 평가 활성화를 촉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평가의 의미를 명료화하기 위해 일반적인 의미와 성경 원어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인 정보를 검토하여 옳고 그름과 가치를 판단하고 구별하는 평가(evalu...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기독교교육 논총 2017, 0(52), , pp.39-69
1. Verfasser: 이은실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교육 평가는 교육이라는 행위의 의미와 가치를 판단하는 활동으로 개인 차원의 학습평가뿐 아니라 기관의 책무성을 검토하는 기관평가까지 교육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해서 필수적인 교육 활동이다. 본 논문은 기독교교육에서 평가의 의미와 역할이 무엇인지 고찰하여 기독교교육 현장 실천가들의 평가에 대한 이해를 돕고 성경적 원리에 기초한 교육 평가 활성화를 촉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평가의 의미를 명료화하기 위해 일반적인 의미와 성경 원어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인 정보를 검토하여 옳고 그름과 가치를 판단하고 구별하는 평가(evaluation)와 사정(assessment)의 행위는 성경 원어에서도 찾아볼 수 있었다. 평가의 기능을 살펴볼 때 기독교교육의 목적구현을 위한 평가는 형성적 성격의 평가, 총체적 성격의 평가, 배움 자체로서의 평가, 이 세 유형이 학생의 학습평가 뿐 아니라 기관의 평가에 적용되는 종합적 기능을 하고 있다. 기독교교육 현장에서 실천되는 평가는 일종의 찬가가 되어 학생들의 학습과 교육경험이 하나님 지배 아래 있고, 교육실천의 책무를 그 주관자이신 하나님 앞에서 청원하고 선포하고 지혜를 구하는 성스러운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다. 이러한 성경적 평가의 의미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성경적 평가의 원리를 네 가지로 제안하고 이를 교육실천의 현장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첫째는 책임의 원리로 기독교학교나 교회는 교육 활동을 하나님 앞에서 책임지고 행하며 그 과정과 결과를 평가하여야 한다. 스스로 자신의 학습을 점검하는 학습자의 초인지 활동이나 기독교교육 현장에서 수행하는 자체적 기관평가는 책임의 원리가 적용된 예가 된다. 둘째 원리는 비교가 아닌 절대평가의 원리로 평가자 되신 하나님을 의식하고 평가의 기준을 하나님의 뜻에 두는 것을 의미한다. 이 절대평가의 원리는 비교우위로 인해 근거 없는 우월감을 가지거나 혹은 자신의 가치를 고정시켜 재능 계발에 소홀하게 되는 왜곡된 자아상 형성을 피하고 하나님 앞에 선 평가로 인도한다. 셋째 원리는 성장과 과정중심의 원리로 하나님의 평가기준에 합당하게 살고자 하는 충실한 삶의 과정을 의미한다. 성과나 결과를 염두에 두고 비교하기 보다는 각자에게 맡겨진 것에 노력하는 과정중심의 원리는 학업성취 뿐 아니라 노력의 과정을 성적표에 기록하는 사례, 자신의 성품이나 태도를 스스로 점검하는 사례, 각 교육기관에서 행하는 자체평가의 예에서 볼 수 있다. 마지막 기쁨과 축하, 격려의 원리는 기독교교육 현장에서 일어나는 평가를 통해 구성원들이 정서적으로 어떤 경험을 해야 하는지 말해주는 원리이다. 이런 원리가 적용 되기 위해서는 전통적 의미의 평가활동 뿐 아니라 서로의 배움을 나누고 격려하며 공유하는 나눔의 평가가 이뤄져야 한다. 다양한 교육 현장에서 성경적 평가의 원리가 인식되고 문화로 확산되며 구체적으로 실행되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요할지 평가에 대한 인식변화, 성경적 평가수행을 위한 역량 교육, 기독교교육 이론전문가와 현장실천가와의 협력과 소통 등 향후 과제가 제시되었다.
ISSN:1229-781X
2671-5759
DOI:10.17968/jcek.2017..5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