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형 당뇨병환자에게서 혈청 빌리루빈과 관상동맥 죽상경화증의 관계
연구배경: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높은 이환율과 사망률의 원인인 관상동맥질환은 관상동맥 석회화와 깊은 연관이 있어 관상동맥 석회화지수를 측정함으로써 평가할 수 있으며 최근 개발된 다중박편 전산화 단층화 촬영을 통해 더 정확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빌리루빈은 생리적인 농도에서 강력한 항산화 작용을 통해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여 관상동맥질환의 예방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저자는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관상동맥 죽상경화증과 혈청 빌리루빈 수치와의 연관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관상동맥 석회화지수를 측정한 172명을...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iabetes & metabolism journal 2008, 32(4), 108, pp.338-345 |
---|---|
Hauptverfasser: | , , , , , , , , ,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연구배경: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높은 이환율과 사망률의 원인인 관상동맥질환은 관상동맥 석회화와 깊은 연관이 있어 관상동맥 석회화지수를 측정함으로써 평가할 수 있으며 최근 개발된 다중박편 전산화 단층화 촬영을 통해 더 정확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빌리루빈은 생리적인 농도에서 강력한 항산화 작용을 통해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여 관상동맥질환의 예방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저자는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관상동맥 죽상경화증과 혈청 빌리루빈 수치와의 연관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관상동맥 석회화지수를 측정한 172명을 대상으로 석회화 지수를 10 이상인 군과 10 미만인 군으로 나누어 두 군 간의 임상적 특징과 검사실 수치들을 각각 비교하였다. 결과: 전체 환자를 대상으로 연령, 당뇨병의 유병기간, 고혈압의 병력, 총 빌리루빈, GGT, 크레아티닌 청소율 등을 단회귀 분석하였을 때 관상동맥 죽상경화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나, 연령으로 보정한 총 빌리루빈의 중회귀분석에서는 유의하지 못했다(P=0.121). 심혈관질환의 병력이 없는 무증상 제2형 당뇨병환자 138명을 대상으로 같은 방법으로 비교 시 단회귀 분석에서 연령, 당뇨병의 유병기간, 혈색소, 총 빌리루빈, GGT, 호모시스테인, 엽산, 마그네슘, 크레아티닌 청소율이 유의하였다. 중회귀 분석에서 연령으로 보정하여도 총 빌리루빈은 관상동맥 석회화지수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빌리루빈은 전체 환자에서 죽상경화증과 의미가 없었으나 무증상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빌리루빈은 관상동맥 죽상경화증의 예측인자로써 유용할 것으로 보여 이에 대해 향후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Lipid oxidation and formation of oxygen radicals have been identified to be the important factors of atherogenesis. Because bilirubin, a potent physiological antioxidant inhibits lipid oxidation, it is suggested that low serum concentrations of bilirubin is associated with atherosclerosi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ilirubin levels and coronary atherosclerosis. Methods: The coronary calcium score(CCS) of 172 subjects(male 63, mean age 60.5 ± 1.0) with type 2 diabetes were evaluated in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uary 2005 and February 2007.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with CCS 10 as the cut off. Results: Higher CC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ower bilirubin(P |
---|---|
ISSN: | 2233-6079 2233-608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