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롭게 진단 받은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혈중 Adiponectin의 특성

연구배경: 지방조직은 단순한 에너지 저장 장소가 아닌 종양괴사인자-α, PAI-1, leptin, resistin 등을 분비하는 내분비기관으로서 인슐린저항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아디포넥틴도 지방 조직에서 분비되는 아디포카인으로서 복부 비만과 유전적 원인에 의해 그 발현과 분비가 감소한다. 아디포넥틴의 역할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나 항염증 효과, 항동맥경화 효과, 인슐린저항성의 개선 등에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새롭게 진단 받은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의 아디포넥틴의 특성을 이해하고 아디포넥틴과 인슐린저항성,...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iabetes & metabolism journal 2007, 31(6), , pp.507-516
Hauptverfasser: 이인석, Ihn Suk Lee, 김윤정, Yun Jeung Kim, 김종임, Jong Im Kim, 박재형, Jea Hyung Park, 구본정, Bon Jeong Ku, 박강서, Kang Seo Park, 이태용, Tae Yong Lee, 김영건, Young Kun Kim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연구배경: 지방조직은 단순한 에너지 저장 장소가 아닌 종양괴사인자-α, PAI-1, leptin, resistin 등을 분비하는 내분비기관으로서 인슐린저항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아디포넥틴도 지방 조직에서 분비되는 아디포카인으로서 복부 비만과 유전적 원인에 의해 그 발현과 분비가 감소한다. 아디포넥틴의 역할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나 항염증 효과, 항동맥경화 효과, 인슐린저항성의 개선 등에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새롭게 진단 받은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의 아디포넥틴의 특성을 이해하고 아디포넥틴과 인슐린저항성, 비만, 체지방 및 내장지방, 이상지질혈증과 관련된 지표들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한국 농촌 유전체 코호트 연구에 참가한 1993명 중 새롭게 당뇨병으로 진단 받은 10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체질량지수, 허리둘레를 측정하였고 12시간 이상 금식시킨 후 75 g 경구포도당부하검사를 시행하였다. 공복 혈당, 공복 인슐린, 경구포도당부하검사 2시간 혈당 및 2시간 인슐린,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저밀도지질단백 콜레스테롤, 고밀도지질단백콜레스테롤을 측정하였다. 체성분 분석기를 이용하여 체지방을 측정하였고, 인슐린저항성은 공복 인슐린, HOMA-IR와 QUICKI를 사용하였다. 자동 파형 분석기를 이용하여 상완-발목 맥파속도 측정하였고,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아디포넥틴과 각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남성이 여성에 비해 아디포넥틴이 감소되어 있었고,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을 대상군 기준으로 삼분위 하였을 때 저아디포넥틴군에서 허리둘레, 중성지방, 당화혈색소, 고감도 C반응 단백질, 페리틴, 내장 지방량이 다른 군에 비해서 높았다. 혈중 아디포넥틴은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내장 지방량, 중성지방, 고감도 C반응 단백질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고밀도지질단백콜레스테롤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다중회귀분석상 허리둘레 및 고밀도지질단백콜레스테롤만이 독립적으로 아디포넥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새롭게 진단된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아디포넥틴은 허리둘레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Background: Adiponectin is secreted from adipose tissue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regulation of glycemia and insulin resistance.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adiponectin and the adiposity, body composition, insulin sensitivity, lipid profile were respectively examined in newly diagnosed type 2 diabetes. Methods: Total 1993 were participated in the Korea Rural Genomic Cohort Study (Geumsan County). After a 12-hour overnight fast, all subjects underwent 75-g oral glucose tolerance test. 105 of those were studied as newly diagnosed type 2 diabetes. The body composition was analyzed by means of bioelectric impedance analysis and the insulin sensitivity was estimated by fasting insulin, HOMA-IR and QUICKI method, respectively. Results: Adiponectin positively correlated with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r = 0.246, P < 0.05). Adiponectin inversely associated with waist circumference (r = -0.408, P < 0.01), triglyceride (r = -0.274, P < 0.05), ferritin (r = -0.260, P < 0.05), visceral fat (r = -0.248, P < 0.05), 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r = -0.228, P < 0.05) and body mass index (r = -0.225, P < 0.05). In multiple linear regression, waist circumference and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were analyzed as independent variables of serum adiponectin. Conclusion: Adiponectin concentrations were closely related to waist circumference in newly diagnosed type 2 diabetes. (J Kor Diabetes Ass
ISSN:2233-6079
2233-60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