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깨 종자 활력 수준별 초저온 동결보존 후 발아율 및 Ascorbate Peroxidase 활성 변화

식물 종자를 비롯한 각종 유전자원을 액체질소에 저장하면 유전형질 특성의 손실 없이 장기간 보존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보존조건이 까다로워 단명 종자로 분류되는 들깨 종자를 초저온 동결저장 방법으로 보존할 수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수집한 들깨 품종별 종자의 초기 발아율은 40-95% 수준으로 다양하였는데, 수분함량을 3-8%로 조절한 종자를 액체질소에 처리하여도 발아율은 감소하지 않았다. 종자의 수분함량이 4-5%인 종자의 초저온 처리 후 발아율이 가장 높았으며, 초기 발아율이 낮은 품종에서는 초저온 처리에 의해 발아율이 증가하기도...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Hanguk hwangyeong nonghak hoeji 2017, 36(4), , pp.256-262
Hauptverfasser: 이영이, Young-yi Lee, 이명희, Myeong-hee Lee, 이정윤, Jung-yoon Yi, 이태윤, Tae-yoon Lee, 손은호, Eun-ho Son, 박홍재, Hong-jae Park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식물 종자를 비롯한 각종 유전자원을 액체질소에 저장하면 유전형질 특성의 손실 없이 장기간 보존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보존조건이 까다로워 단명 종자로 분류되는 들깨 종자를 초저온 동결저장 방법으로 보존할 수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수집한 들깨 품종별 종자의 초기 발아율은 40-95% 수준으로 다양하였는데, 수분함량을 3-8%로 조절한 종자를 액체질소에 처리하여도 발아율은 감소하지 않았다. 종자의 수분함량이 4-5%인 종자의 초저온 처리 후 발아율이 가장 높았으며, 초기 발아율이 낮은 품종에서는 초저온 처리에 의해 발아율이 증가하기도 했다. 인위 노화처리에 따라 종자의 발아율과 ascorbate peroxidase 활성은 감소하였으며, 품종별로 종자의 활력 저하 정도는 크게 달리 나타났다. 대조 처리 종자와 비교 하였을 때, 초저온 처리과정에 발생할 수 있는 산화스트레스가 들깨 종자의 활력을 저해하지는 않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들깨 종자를 4-5% 수분함량으로 건조시켜 초저온동결 저장하면 활력 손실 없이 장기간 보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노화가 급속히 진행되는 품종의 경우에는 고활력 자원을 확보하거나 휴면타파 처리 후 초저온 동결 보존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Seed of perilla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 is short-lived in conventional storage conditions. For long-term conservation of plant species, cryopreservation is the method currently availabl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out reliable methods for a long-term storage of seeds of perilla as a genetic resource. METHODS AND RESULTS: Using seeds of 9 perilla cultivars, the effects of desiccation, aging, and cryopreservation on seed germinability and ascorbate peroxidase activity in the seeds were investigated. Initial germinability of the seeds was various, and dry seeds of all cultivars survived cryopreservation without loss of viability. The highest germination was achieved at 4-5% moisture content, and stimulatory effect of cryogenic temperature on the seed germination was observed in some cultivars. Accelerated aging of perilla seeds led to reduction in germination and ascorbate peroxidase activity, and the susceptibility of seeds to aging was different among the tested cultivar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ermination was observed for the aged seeds of control and liquid nitrogen exposed.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ryopreservation at 4-5% moisture content would be a suitable method for long-term conservation of perilla seeds without detrimental effects on germination.
ISSN:1225-3537
2233-4173
DOI:10.5338/KJEA.2017.36.4.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