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켓 접착시 광중합방식에 따른 전단결합강도와 파절양상 비교

기존의 가시광선 중합기와 비교해서 plasma arc light와 LED 방식의 중합기를 이용해 브라켓을 치아표면에 접착한 후 탈락시키는 실험을 시행해 각각의 중합방식별로 전단결합강도와 접착파절양상을 비교함으로써 임상에서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교정치료를 위해 발거한 상, 하악 소구치 60개를 원통형의 레진블록에 매몰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광중합형 접착레진인 Transbond XT를 이용하여 광중합 방식별로 조건(가시광선 중합기는 40초, LED방식의 중합기는 20초, 그리고 plasma arc light 방식의 중합기는...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2012) 2004, 34(4), , pp.333-342
Hauptverfasser: 신재호(Jai-Ho Shin), 임용규(Yong-Kyu Lim), 이동렬(Dong-Yul Lee)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기존의 가시광선 중합기와 비교해서 plasma arc light와 LED 방식의 중합기를 이용해 브라켓을 치아표면에 접착한 후 탈락시키는 실험을 시행해 각각의 중합방식별로 전단결합강도와 접착파절양상을 비교함으로써 임상에서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교정치료를 위해 발거한 상, 하악 소구치 60개를 원통형의 레진블록에 매몰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광중합형 접착레진인 Transbond XT를 이용하여 광중합 방식별로 조건(가시광선 중합기는 40초, LED방식의 중합기는 20초, 그리고 plasma arc light 방식의 중합기는 3초) 에 따라 브라켓을 접착한 후 만능물성실험기로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고 브라켓 기저면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해 접착파절양상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가시광선 중합방식과 LED 중합방식으로 중합시킨 군간에 전단결합강도의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지만 plasma arc Light방식으로 중합시킨 군은 앞의 두 군에 비해 유의성이 있게 작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2. 가시광선 중합방식으로 중합한 군과 LED 방식을 이용한 군에서는 파절양상이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다. 두 군 모두 잔류접착제가 치아면에만 있는 경우가 제일 적은 비율을 보였으며 브라켓 기저면에 50% 이상의 접착제가 남아 있는 양상이 더 큰 비율을 보였다. 3. Plasma arc light 로 중합시킨 경우에는 접착제가 브라켓 기저면에 50% 이하로 남아있는 양상이 큰 비율로 나타났으며 잔류 접착제 전체가 치아면에 남아 있는 경우는 15%였다. 이상의 실험결과 plasma arc light를 이용한 중합 방식이 가시광선이나 LED 방식을 이용한 중합 방식에 비해 유의성 있게(p>0.05) 낮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으나 세 방식 모두 임상적으로 사용하기에 충분한 전단결합강도를 보여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effectiveness of a plasma arc light and light emitting diode (LED), compared with shear bond strength and the failure pattern of brackets bonded with visible light in direct bonding. Brackets were bonded with Transbond XT to 60 human premolars embedded in the resin blocks according to different light-curing methods. Then, the shear bond strength of each group was measured using a universal testing machine (Instron) and the adhesive failure pattern after debonding was visually examined by light microscop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hear bond strength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visible light and light emitting diode, but the plasma arc light exhibited a significantly lower shear bond strength compared with the visible light and light emitting diode. 2. In the visible light and light emitting diode, adhesive failure patterns were similar. Bond failure occurred more frequently at the enamel-adhesive interface. 3. The bonding failure of brackets bonded with plasma arc light occurred more frequently at the bracket-adhesive interfa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lasma arc light, light emitting diode and visible light are all clinically useful in the direct bonding of orthodontic brackets. KCI Citation Count: 0
ISSN:2234-7518
2005-372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