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정상교합자의 하악 치열궁 형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정상교합자에서 하악치열궁의 형태적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한국인 102명의 정상교합자를 대상으로 하악 모형의 교합면을 복사한 후 13개의 접촉점중에서 가장 협측으로 위치한 부분을 digitize하였고 각 치아의 브라켓위치에 해당하는점을 하악치아의 두께에 의거하여 4개의 선계측과 2개의 비율을 측정하였다. 치열궁의 형태를 square, ovoid, tapered from으로 분류하여 그 빈도를 남녀성별에 따라 비교한 결과 특이한 차이점을 보이지 않았으나 대구치간 폭경에서는 남녀성별의 차이를 보였다. 정상교...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2012) 2004, 34(6), , pp.481-487 |
---|---|
Hauptverfasser: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정상교합자에서 하악치열궁의 형태적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한국인 102명의 정상교합자를 대상으로 하악 모형의 교합면을 복사한 후 13개의 접촉점중에서 가장 협측으로 위치한 부분을 digitize하였고 각 치아의 브라켓위치에 해당하는점을 하악치아의 두께에 의거하여 4개의 선계측과 2개의 비율을 측정하였다.
치열궁의 형태를 square, ovoid, tapered from으로 분류하여 그 빈도를 남녀성별에 따라 비교한 결과 특이한 차이점을 보이지 않았으나 대구치간 폭경에서는 남녀성별의 차이를 보였다. 정상교합자에서 치열궁 형태분포는 ovoid, square, tapered순 이었고 tapered arch from 은 10%미만이었다. 치열궁 형태의 빈도분포에 있어서 남녀간의 차이는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morphologic characteristics between mandibular clinical arch forms in Koreans with normal occlusions. The study included data from 102 Koreans. The most facial portion of 13 proximal contact areas was digitized from photocopied images of the mandibular dental arches. Clinical bracket points were calculated for each tooth based on mandibular tooth thickness data. Four linear and two proportional measurements were taken. The dental arches were classified into ovoid, square and tapered forms. The frequency distributions of the three mandibular arch form classifications were determined and compared between male and female subject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rch form size were found between the sexes. However, there were a few differences in molar width. It was useful to classify mandibular clinical arch forms present in normal occlusion samples into ovoid, square and tapered categories. The frequency of the ovoid form was the highest, and that of the square form was the second highest. The tapered arch form was found in less than 10 percent of subject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frequency distributions and dimensions were shown between males and females. KCI Citation Count: 3 |
---|---|
ISSN: | 2234-7518 2005-372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