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균성갈색무늬병에 대한 양송이 내성 검증

양송이 재배에서 큰 피해를 주고 있는 세균성갈색무늬병(bacterial brown blotch disease)을 유발하는 3가지 병원균에 대해 양송이가 가지는 내성이 후세대에 전달되는지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세균성갈색무늬병에 대한 양송이의 내성 정도는 균사생장능력과 상관관계가 없었다. 세균성갈색무늬병에 내성이 강하였던 계통의 후세대 단포자들은 균사체 단계에서는 부모세대처럼 강한 내성을 보이지 않으며, 자실체에서는 균사체에 비해 내성은 감소하였다. 세균성갈색무늬병에 내성이 약하였던 계통의 후세대 단포자들은 균사체 단계에서는...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Hangug gynnhaghoi ji 2017, 45(4), , pp.370-376
Hauptverfasser: 김우현, Woo-hyun Kim, 권태룡, Tae-ryong Kwon, 김용균, Yong-gyun Kim, 권순욱, Soon Wook Kwon, 오연이, Youn-lee Oh, 강민구, Min-gu Kang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양송이 재배에서 큰 피해를 주고 있는 세균성갈색무늬병(bacterial brown blotch disease)을 유발하는 3가지 병원균에 대해 양송이가 가지는 내성이 후세대에 전달되는지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세균성갈색무늬병에 대한 양송이의 내성 정도는 균사생장능력과 상관관계가 없었다. 세균성갈색무늬병에 내성이 강하였던 계통의 후세대 단포자들은 균사체 단계에서는 부모세대처럼 강한 내성을 보이지 않으며, 자실체에서는 균사체에 비해 내성은 감소하였다. 세균성갈색무늬병에 내성이 약하였던 계통의 후세대 단포자들은 균사체 단계에서는 부모세대와 마찬가지로 내성이 매우 약하여, 부모세대가 가진 내성이 후세대로 전달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자실체에서의 내성은 균사체에서 내성 유무와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따라서 자실체의 갈변 현상은 다른 요인이 복합적으로 관여하여 유발될 것으로 판단된다. Pseudomonas tolaasii는 자실체에서 Pseudomonas agarici에 비해서 갈변을 더 높게 유발시켰으며, Pseudomonas reactans는 균사체에는 큰 영향을 주지 못했지만, 자실체의 갈변에는 영향을 주었다. P. agarici는 자실체보다 균사체 생장억제능이 높았다. Pseudomonads cause bacterial brown blotch disease, which causes great damage to the common mushroom Agaricus bisporus. The tolerance of A. bisporus to pseudomonads was tested and found to not be correlated with mycelium growth ability. The offsprings of the tolerant strain (ASI1085) to pseudomonads were not as tolerant as their parents in the mycelium stage. But, tolerance decreased compared to mycelium in the fruiting body. The offsprings of the weakly tolerant strain (ASI1321) were even more weak in the mycelium stage. It is presumed that the tolerance of the parents is transferred to later generations. The tolerance in the mycelium was not correlated in the fruiting body. Therefore, the browning of the fruiting body is thought to be induced by other factors. Pseudomonas tolaasii caused higher browning than Pseudomonas agarici. Pseudomonas reactan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mycelium, but affected the browning of the fruit bodies. P. agarici had higher ability to inhibit mycelium growth than fruiting body growth.
ISSN:0253-651X
2383-5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