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량 매립지 오염평가를 위한 지구물리 탐사 사례연구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s were conducted at areas of abandoned landfills in Cheonan and Wonju. Geology and extent of leachate migration around the landfills were evaluated with collected resistivity data by 2-D and 3-D resistivity inverse modeling. The Cheonan landfill is located above the padd...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ehan hwan'gyeong gonghag hoeji 2006, 28(5), , pp.463-471
Hauptverfasser: 이성순(Sung Soon Lee), 이진용(Jin Yong Lee), 윤희성(Hee Sung Yoon), 이강근(Kang Kun Lee), 김창균(Chang Gyun Kim), 유영철(Young Chul Yu)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Electrical resistivity surveys were conducted at areas of abandoned landfills in Cheonan and Wonju. Geology and extent of leachate migration around the landfills were evaluated with collected resistivity data by 2-D and 3-D resistivity inverse modeling. The Cheonan landfill is located above the paddy fields and the resistivity survey lines were crossed to examine possible pollution at the paddy fields by leakage of the landfill leachate. In Wonju, the landfill and the downgradient paddy fields are divided by a concrete barrier wall. At the bottom of the landfill, there is a leachate settlement system, which has not been in operation. To evaluate leachate leakage into the paddy fields, a total of 4 survey lines were used. According to the resistivity survey results, the landfill leachate in Cheonan appeared to be restricted only within the interior of the landfill, not to migrate into the subsurface of the paddy fields. These results are well consistent with electrical conductivity values of groundwaters obtained from a periodic analysis of water qualities. In Wonju, however, it was inferred that the leachate emanating from the landfill migrated beneath the abandoned leachate settlement system and the leachate would reach the downgradient paddy fields. Low resistivity area was observed in the old reservoir area and it appeared to be derived from convergence of groundwater flows from the surrounding valley and the moist wet land. In addition, groundwater flow into the paddy fields occurs beneath the old reservoir embankment at depths of $7{\sim}8m$. This paper reports details of the resistivity surveys for the uncontrolled landfills. 본 연구에서는 충남 천안시와 강원도 원주시에 위치한 불량매립지 일대에 대해 지구물리 탐사 중 전기비저항 탐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2차원과 3차원 비저항 역산 모델링을 수행하여 매립지 주변 지질구조와 침출수 오염영역, 침출수 유동을 평가하였다. 천안 직산매립지는 매립지가 논 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매립지로부터 침출수로 인한 농지 오염의 가능성이 있어 물리탐사 측선 배열을 매립지를 기준으로 서로 교차하는 측선배열을 수행하였다. 원주 매립지의 경우 매립지와 주변 논밭의 경계가 매립지 옹벽으로 나뉘며, 매립지 경계로부터 침출수 침전시설이 위치하고 있으나 현재는 방치된 상태로 침출수 누출로 인한 농지 오염의 가능성이 있다. 이에 총 4개 측선에 대해 3개 측선은 매립지 경계로부터 일정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배열을 하였으며, 나머지 한 개 측선은 이 3개 측선을 교차하도록 배열하였다. 2차원 비저항 역산모델을 수행한 결과 천안매립지의 경우 침출수가 외부 논으로 확대되지 않고 매립지 내부에 정체된 형태로 존재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는 지하수 관측정 정기 수질분석시 측정된 지하수의 전기전도도 값의 분포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원주 매립지의 경우는 매립지로부터 유래된 침출수가 매립지 경계 부근 폐기된 침출수 처리시설 밑으로 흐르는 것으로 평가되었고, 매립지 주변 기존 저수지였던 곳에서는 매립지 주변에 위치한 계곡의 영향으로 계곡에서 흘러드는 지하수에 의한 흐름과 과거 저수지의 영향으로 지표 근처에서 낮은 비저항대를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저수지 제방에서는 하부 $7{\sim}8m$ 심도에서 지하수가 논으로 유입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하의 반응온도 기준으로
ISSN:1225-5025
2383-7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