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칼리 활성반응을 이용한 플라이 애쉬/슬래그 시멘트 개발(2) - 반응생성물과 미세구조
Investigation of alkali activation of fly ash and blast furnace slag was carried out using waterglass and sodium hydroxide. XRD, FTIR, $^{29}Si$ and $^{27}Al$ NMR, TGA and SEM were used to observed the reaction products and microstructure of the fly ash/slag cement (FSC) pastes. The reaction product...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ehan hwan'gyeong gonghag hoeji 2007, 29(7), , pp.810-819 |
---|---|
Hauptverfasser: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Investigation of alkali activation of fly ash and blast furnace slag was carried out using waterglass and sodium hydroxide. XRD, FTIR, $^{29}Si$ and $^{27}Al$ NMR, TGA and SEM were used to observed the reaction products and microstructure of the fly ash/slag cement (FSC) pastes. The reaction products were amorphous or low-ordered calcium silicate hydrate and aluminosilicate gel produced from alkali activation of blast furnace slag and fly ash,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this investigation, waterglass solution with a modulus(Ms) of 1.0 and 1.2 is recommended for alkali activation of fly ash and blast furnace slag. Morphology of FSC pastes alkali-activated with Ms of 1.0 and 1.2 shows a more solid and continuous matrix due to restructuring of gel-like reaction products from alkali-activated fly ash and blast furnace slag together with another hydrolysis product(i.e., silica gel) from water glass. 물유리와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이용하여 플라이 애쉬와 고로슬래그의 알칼리 활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플라이 애쉬/슬래그 시멘트 페이스트(FSC)의 반응생성물과 미세구조를 관찰하기 위하여 XRD, FTIR, $^{29}Si$ and $^{27}Al$ NMR, TGA and SEM 분석을 수행하였다. 무정형 상태 또는 저급 결정구조를 가진 calcium silicate hydrate와 aluminosilicate 겔이 각각 고로슬래그와 플라이 애쉬의 알칼리 활성반응에 의해 생성되었다. 실험결과, 물유리 모듈 1.0과 1.2가 플라이 애쉬와 고로슬래그의 알칼리 활성반응을 위해 적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유리 모듈 1.0과 1.2로 알칼리 활성화된 FSC 페이스트는 플라이 애쉬와 고로슬래그의 알칼리 활성반응에 의해 생성된 겔 형태의 반응생성물과 물유리에 의한 또 다른 수화물(즉 실리카겔)에 의해 좀 더 단단하고 연속적이 모체가 형성되었음을 보여주었다. |
---|---|
ISSN: | 1225-5025 2383-7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