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립지 복토용 슬러지 고화물내 이산화탄소 생광물화 고정균 분석 및 생광물화능 평가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biomineralization microbes were actively present underneath landfill cover soil producing biocalcification. From this, various types of microbes were observed. Among them, two species were dominantly found; Bacillus megaterium and Alkaliphilus metallired...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ehan hwan'gyeong gonghag hoeji 2013, 35(8), , pp.598-606
Hauptverfasser: 안창민(Chang Min Ahn), 배영신(Young Shin Bae), 함종헌(Jong Heon Ham), 천승규(Seung Kyu Chun), 김창균(Chang Gyun Kim)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biomineralization microbes were actively present underneath landfill cover soil producing biocalcification. From this, various types of microbes were observed. Among them, two species were dominantly found; Bacillus megaterium and Alkaliphilus metalliredigens that were known as biominerlization bacteria. With those microbes, $CO_2$ was more highly consumed than without bacteria. In response, the calcium carbonate mineral was produced at 30% (wt) greater than that of the control. At the same time, TG-DTA was successfully used for quantification of $CO_2$ consumed forming calcium carbonate minerals resulting from biocalcification. It was decided that the presence of solidified sewage sludge cake utilized as a cover soil in the landfill could efficiently contribute to possible media adaptably and naturally sequestering $CO_2$ producing from the landfill. 본 연구에서는 실제 매립장에 매립되어 있는 슬러지 고화물을 대상으로 생광물화 미생물 종분석을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 하였고, 또한 분석된 미생물을 배양하여 일반적으로 알려진 생광물화균과의 대조 실험을 통해 토착 미생물의 carbonate 생성능을 기기분석을 통해 비교 평가하였다. 시료내 미생물 종분석을 16S rDNA 시퀀스 분석을 통해 수행해본 결과, 다양한 미생물종이 관찰되었으며, 특히 생광물화 기작에 관여한다고 알려진 호기성 토양 미생물의 한종인 Bacillus megaterium과 금속을 환원시켜 미네랄염 상태로 전환시키는 Alkaliphilus metalliredigens의 근연종을 확인 하였다. 복토재에서 분리 배양한 균주를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한 결과, 생광물화 균주가 주입된 실험군에서 미생물이 주입되지 않은 대조군보다 이산화탄소의 감소량이 더 컸다. 이와 연계하여 반응후 열중량분석기(TG-DTA)를 이용하여 탄산염(carbonate minerals)을 정량한 결과, 미생물이 주입된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약 30% 정도 더 생성된 것을 확인 하였다. 이러한 실험 결과로 비춰 볼 때 열중량분석법(TG-DTA)은 이산화탄소의 생물학적 전환에 의해 생성된 탄산염물의 정략적 분석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종합해 보면 복토재로 현장 매립된 슬러지 고화물은 매립장에서 표면 발산되는 이산화탄소의 자연적인 탄산염 전환 매체로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ISSN:1225-5025
2383-7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