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낙농우(젖소)로부터의 우유생산에 대한 전과정평가
Recently the dairy cow industry have faced environmental issues such as eutrophication, global warming, etc. An LCA was used to quantify the environmental impact of a dairy cow system and to identify key issues contributing to the impact. The system boundary crop cultivation for feeding dairy cow, f...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ehan hwan'gyeong gonghag hoeji 2015, 37(1), , pp.52-59 |
---|---|
Hauptverfasser: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Recently the dairy cow industry have faced environmental issues such as eutrophication, global warming, etc. An LCA was used to quantify the environmental impact of a dairy cow system and to identify key issues contributing to the impact. The system boundary crop cultivation for feeding dairy cow, feed production, rearing and manure management (cradle-to-gate). The functional unit was 1 kg of milk (fat protein corrected milk, FPCM) produced. Rearing and cultivation of feed crops stages in system boundary to the environmental impact of the domestic dairy cow system were dominant issues. Techniques such as suppression of enteric fermentation, improvement of the energy efficiency of farm equipment and apparatuses, management of leachate generated during the crop cultivation, and development of controling the loss of fertilizer during crop production would be necessary for the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al key issues of the dairy cow system. 최근 낙농업은 지구온난화 등 환경에 미치는 영향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특히 젖소로부터 발생하는 장내발효 메탄가스와 젖소를 사육하는데 필요한 사료작물의 재배에 의한 여러 환경영향이 이슈가 되고 있다. 유럽에서는 Product Environmental Footprint (PEF)라는 통합적 라벨링제도를 통해 공산품뿐만 아니라 낙농제품 등과 같은 각종 농업생산물에 대한 환경영향 산정 방법론을 연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전과정평가(Life cycle assessment, LCA)를 이용하여 국내 낙농우(젖소)의 전과정에 대해 전과정 단계별로 환경영향을 산정하고 주요이슈를 규명하였다. 시스템 경계는 젖소를 위한 사료작물 재배, 사료가공, 전소 관리와 가축분뇨처리(cradle-to-gate)이다. 기능단위는 1 kg의 우유(Fat Protein Corrected Milk, FPCM(유지 및 단백질 보정유)) 생산이다. 국내 낙농우(젖소) 시스템의 환경영향은 사육단계, 사료작물 재배단계가 분뇨처리단계 및 사료생산 단계보다 더 많은 환경영향범주에서 주요 전과정 단계로 규명되었다. 이에 농장 내 우유 생산과정 환경영향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사육 시 장내발효 메탄가스 발생 억제기술 개발, 농장 기기 장비의 에너지효율 개선, 작물 재배 시 발생하는 침출수 관리 및 사료작물 재배 시 비료의 유실방지 기술 개발 등이 주요 환경이슈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판단된다. |
---|---|
ISSN: | 1225-5025 2383-7810 |
DOI: | 10.4491/KSEE.2015.37.1.5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