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중왕산 지역 낙엽활엽수림과 낙엽송 조림지에서수관통과우와 수간류 및 낙엽낙지에 의한 양분 유입의 차이
최근 산림이 가지는 다양한 공익적 기능과 환경보전 및 사회에 대한 산림의 역할과 활용의 수요가 높아짐에 따라, 산림의 지속 가능성을 유지하고 복원력을 훼손하지 않도록 산림을 관리하는 생태적인 산림관리 방안의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Lee, 1996; Toman and Ashton, 1996). 이를 위해서는 산림생태계를 생태적으로 안정하고 건전한 산림구조로 이끌어 가는 기술 등이 확립되어야 하며, 산림의 생리·생태적 특성, 생산구조, 입지, 임상 및 생산성 등에 대한 보다 정확한 자료수집과 더불어, 임분의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0(2) 2007, 40(2), , pp.136-144 |
---|---|
Hauptverfasser: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최근 산림이 가지는 다양한 공익적 기능과 환경보전 및 사회에 대한 산림의 역할과 활용의 수요가 높아짐에 따라, 산림의 지속 가능성을 유지하고 복원력을 훼손하지 않도록 산림을 관리하는 생태적인 산림관리 방안의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Lee, 1996; Toman and Ashton, 1996). 이를 위해서는 산림생태계를 생태적으로 안정하고 건전한 산림구조로 이끌어 가는 기술 등이 확립되어야 하며, 산림의 생리·생태적 특성, 생산구조, 입지, 임상 및 생산성 등에 대한 보다 정확한 자료수집과 더불어, 임분의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순환에 대한 보다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
산림생태계는 물질순환의 일환인 앙분유입을 통해 산림생태계 내 물질 생산량을 축적시키고 산림생태계를 안정적으로 유지한다(Chang, 2001). 산림생태계의 양분유입 경로는 크게 강우에 의한 유입과, 낙엽낙지에 의한 유입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강우는 생태계 외부로부터 내부로 유입된 후, 다양한 경로를 거쳐 토양으로 이동하는데, 일부는 수관층에서 가지와 수피, 잎 등과 접촉한 후 수관통과우의 형태로, 일부는 나무줄기를 따라 수간류의 형태로 유입되며, 수관과 수간은 토양으로 유입되는 물질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Matzner and Meiwes, 1994; Roberston et al., 2000; Shibata and Sakuma, 1996). 낙엽낙지에 의한 양분 유입은 산림생태계 내 양분의 자체순환 기능을 하는데, 여러 토양 생물 및 미생물에 필요한 에너지와 양분을 공급하고, 산림토양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 변화에도 큰 영향을 미쳐(Kim et al., 1997), 수목의 생장이나 생산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Albrektson, 1988; Kavvadias, 2001). 따라서 양분유입에 대한 정보는 궁극적으로 생태적으로 안정하며 지속가능한 산림관리를 하기 위해 필요하며, 또한 산림쇠퇴나 양분의 용탈 등으로 인한 조림 실패지의 복구나 훼손된 산림지역을 복원하는데도 활용 될 수 있다.
2005년 현재, 우리나라의 산림은 6,393,949ha로, 침엽수림이 2,698,574 ㏊ (41.7%), 활엽수림이 1,659,128 ㏊ (25.9%)를 차지하고 있어(Korea Forest Service, 2006), 지난 20년 동안 침엽수림은 486,971 ㏊가 감소하였는데 비해, 활엽수림은 512,411 ㏊가 증가하였는데, 이러한 경향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우리나라 산림생태계의 관리를 위한 양분유입에 대한 연구는 침엽수림과 활엽수림에서의 양분유입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가를 밝혀 조림 및 산림관리가 침엽수림 위주에서 활엽수림 위주로 전환하였을 때, 산림의 양분유입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규명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강원도 평창군에 위치한 중왕산 지역을 대상으로 활엽수림의 60%를 차지하는 낙엽활엽수림과 침엽수림의 35.1%를 차지하는 낙엽송 조림지를 비교하여 두 임분 간 수관통과우, 수간류 및 낙엽낙지에 의한 양분의 유입량이 차이를 보이는 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nutrient input by throughfall, stemflow and litterfall and concentration of nutrient in soil water between deciduous forest stand and Larix kaempferi plantation at Mt. Joongwang, Pyongchang-gun, Gangwon-do. The amount of rainfall interception during study period in deciduous forest stand and L. kaempferi plantation was 12% and 36%, respectively. Concentrations of cation (Na+, Mg2+, K+ and Ca2+) in throughfall were not different , while concentration of Cl- in stemflow was higher in L. kaempferi plant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annual nutrient inputs by rainfall with the exception of Cl-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deciduous forest stand. In soil water, concentrations of anion (Cl-, NO3- and SO42-)in A-layer, and Ca2+ and Cl- in B-layer were higher in L. kaempferi plantation. Litterfall input during study period was 2,589㎏ ㏊-1 in deciduous forest stand and 1,046 ㎏ ㏊-1 in L. kaempferi plantation. Concentration of N was highe |
---|---|
ISSN: | 0367-6315 2288-216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