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biquitous Presence and Activity of Thiosulfate Oxidizing Bacteria inRhizosphere of Economically Important Crop Plants of Korea
식물에 필수영양소인 황은 대부분 sulfate의 형태로 식물이 흡수하며, thiosulfate 형태로는 영양소로서 흡수하지 못한다. 황산화세균은 이러한 thiosulfate를 산화시켜 sulfate로 만들어 준다. 국내 토양에서 황산화세균의 분포를 조사하기 위하여 경제적으로 중요성을 갖는 19가지 작물의 근권에서 토양을 채취하였다. 항산화세균은 조사한 모든 작물의 근권에서 존재하였으며, 황산화능이 우수한 32가지의 황산화세균을 분리하였다. 또한 분리 균주의 생화학적 특징을 검토한 결과 32종 중 56%가 필수 화학합성자가영양생물이었...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1(1) 2008, 41(1), , pp.9-17 |
---|---|
Hauptverfasser: |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eng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식물에 필수영양소인 황은 대부분 sulfate의 형태로 식물이 흡수하며, thiosulfate 형태로는 영양소로서 흡수하지
못한다. 황산화세균은 이러한 thiosulfate를 산화시켜 sulfate로 만들어 준다. 국내 토양에서 황산화세균의 분포를
조사하기 위하여 경제적으로 중요성을 갖는 19가지 작물의 근권에서 토양을 채취하였다. 항산화세균은 조사한
모든 작물의 근권에서 존재하였으며, 황산화능이 우수한 32가지의 황산화세균을 분리하였다. 또한 분리 균주의
생화학적 특징을 검토한 결과 32종 중 56%가 필수 화학합성자가영양생물이었으며, 44%가 기생 종속영양생물
이었다. 분리 균주 ATSR15P는 배양과정에서 19.2 mM의 thiosulfate를 사용하였고, 11.7 mM의 sulfate를 축적
하였다. 또한 ATSR15P 배양 과정 중 배지의 pH가 6.5에서 3.1로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황산화세균에 의
한 황의 산화가 국내 작물의 근권에서 포괄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라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The presence of thiosulfate oxidizing bacteria was examined in rhizosphere soils of 19 economically
important plant species belonging to 10 different famili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hiosulfate oxidizing
bacteria were present in all the tested rhizosphere soils, and the total 32 thiosulfate oxidizing bacteria were
recovered. Furthermore, the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revealed that 56% and 44% of the isolates
belonged to the obligate chemolithoautotrophs and facultative heterotrophs, respectively. The isolates
ATSR15P utilized 19.17 mM of thiosulfate and accumulated 11.65 mM of sulfate in the medium.
Concurrently, the decrease in pH of the medium was observed. This study comprehensively demonstrates
that the active sulfur oxidation is a ubiquitous phenomenon in the rhizosphere of crop plants in Korea.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0367-6315 2288-216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