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양물리성과 토양보전
토양 물리성과 작물 생육 및 수량 예측을 지금까지 수도와 식량 작물 위주에서 원예 및 특용 작물을 대상 으로 확대하고, 작물 수량과 품질 뿐 아니라 환경을 개선시키는데 필요한 양분이동, 흡착, 토양 입단의 크기와 안정성, 통기-투수성, 경운성 개선 기술을 연구하여, 작부 방식 및 관리방법별로 토양물리성 변화 예측으로 작부 체계, 답전 윤환, 비배관리에 필요한 기초를 확립하고 각종 개량제, 비료, 농약, 상토 등 농자재에 대한 기본특성 연구 즉, 더욱 정확성과 신속성 있는 분석기술과 아울러 현장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간이측정기술을...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韓國土壤肥料學會誌 2009, 42(3), 1, pp.28-52 |
---|---|
Hauptverfasser: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토양 물리성과 작물 생육 및 수량 예측을 지금까지
수도와 식량 작물 위주에서 원예 및 특용 작물을 대상
으로 확대하고, 작물 수량과 품질 뿐 아니라 환경을
개선시키는데 필요한 양분이동, 흡착, 토양 입단의
크기와 안정성, 통기-투수성, 경운성 개선 기술을
연구하여, 작부 방식 및 관리방법별로 토양물리성 변화
예측으로 작부 체계, 답전 윤환, 비배관리에 필요한
기초를 확립하고 각종 개량제, 비료, 농약, 상토 등
농자재에 대한 기본특성 연구 즉, 더욱 정확성과 신속성
있는 분석기술과 아울러 현장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간이측정기술을 계속 보완하고 입도 및 유기물등과
CEC, AEC 및 수분보전 특성에 대한 심도 있는 상호
관계 구명 연구가 필요하다.
적절한 토양 관리과 합리적인 물관리 체계를 구축하는
것은 농경지에서 물의 흐름과 토양침식을 제어하여
토양 침식 방지, 수해 방지, 사태 방지 및 자연 자원
보전에 기여할 수 있다. 그러므로 토지이용 형태에
따라 토양 침식 방지 기능을 측정하여 토지 이용 계획
수립과 환경친화적인 농촌 발전을 위한 정책 개발은
중요한 과제 일 것이다. 환경 친화형 농업을 추구하는
최근 연구방향에 대응 할 수 있는 토양 보전 연구, 즉
토양 유실에 따른 유거수 혹은 침투수 중 질소, 인산
등의 염류 유실 및 농약 성분 유실에 대한 모니터링과
체계적인 예측 기술이 개발과 유역단위 별 , 농경지에서
적절한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최적 영농관리 방안이
구축 되어야 할 것이다 KCI Citation Count: 2 |
---|---|
ISSN: | 0367-6315 2288-216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