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지조건이 다른 시설재배지에서 담수처리에 따른 양분 용탈량 평가
Greenhouse soil cultivated with excessive compost and chemical fertilizer has been an issue to deteriorate soil and water quality in the environmen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nutrient outflow by desalting method, flooding soil surface, after vegetable cropping in greenhouse so...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韓國土壤肥料學會誌 2010, 43(3), , pp.315-321 |
---|---|
Hauptverfasser: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Greenhouse soil cultivated with excessive compost and chemical fertilizer has been an issue to deteriorate soil and water quality in the environmen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nutrient outflow by desalting method, flooding soil surface, after vegetable cropping in greenhouse soils. Field experiment from July to September 2008, was conducted to quantify greenhouse locations, i.e. alluvial plain and local valley. The changes of desalinization in both locations were higher as the amounts of irrigated and drained water were increased. Particularly, the ratio of desalinization in alluvial plain was much higher (66.7%) than the one in local valley (45.6%). However, $NH_4$-N contents of local valley soil during the flooding were higher than in those of alluvial plain. This was caused by high total nitrogen and organic matter in local valley soil than those in alluvial plain soil. With comparing to the input and output loads of T-N and T-P in greenhouses with local valley and alluvial plain soils, the output loads of nutrients were larger than the input loads of nutrients. This result showed that the flooding soil surface can be a good treatment to desalinize greenhouse soils. However, this conclusion remained that the flooding water containing high N and P concentrations might cause the secondary effect on the quality of streams and groundwater since excessive nutrient concentrations can be the main cause of eutrophication problem in aquatic environment. 시설재배는 폐쇄된 환경에서 제한적인 물관리로 인하여 작기 중에는 외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작물 생산 이후 토양 중 집적된 염류를 제거하기 위해 담수처리를 하게 되는데, 이 때 토양 중 염류가 지표유출 및 용탈을 통하여 주변 수질에 영향을 직접 미치고 있어서 이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를 하였다. 입지조건이 다른 두 시설재배지인 경북 상주시 서곡동에 위치한 시설하우스에서 2008년 7월 중순부터 9월 중순까지 시험 전 후의 토양 화학성, 관개량 및 관개수질, 침투수량 및 침투수질, 표면수질, 그리고 조사기간 동안 주변 하천 수질을 조사하였다. 하성평탄지에서는 담수직후의 제염률은 60.4%로 곡간지에 비해 훨씬 높았으며 76.6%까지 높아졌다가 담수 20일 후에는 66.7%이었다. 담수초기부터 곡간지의 표면수중 $NH_4$-N과 $PO_4$-P 농도가 하성평탄지보다 높았으며, 곡간지에서 담수직후와 담수종료 후의 토양깊이별 $Cl^-$과 ${SO_4}^{2-}$ 농도는 큰 차이가 있었으나, 하성평탄지에서는 토양깊이별 ${SO_4}^{2-}$ 농도만 차이가 있었다. 침투수중 $NO_3$-N 농도 변화는 곡간지에 비해 하성평탄지에서 변화의 폭이 컸으며, 시간이 경과할수록 그리고 토양이 깊어질수록 그 농도도 높았다. 또한, 곡간지와 하성평탄지에 있는 시설재배지에서 담수제염에 의한 질소와 인수지를 비교 평가해 본 결과 곡간지와 하성평탄지 모두 유입 부하량보다 유출 부하량이 많아 외부 수계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곡간지에 비해 하성평탄지에서의 양분 부하량이 더 많은 것으로 평가되었는데, 곡간지에서는 지하용탈만으로 제염을 하여 지하수의 수질에 영향을 주고 하성평탄지에서는 지하용탈뿐만 아니라 지표용탈에 의한 제염으로 인해 하천수의 수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
ISSN: | 0367-6315 2288-216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