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B액비가 속성수의 생장 및 biomass 생산에 미치는 영향

Fifteen clones of poplars, 2 clones of willows, and yellow poplar were us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5 treatments such as SCBLF (slurry composting and biofiltration liquid fertilizer), general slurry liquid fertilizer, chemical fertilizer, groundwater, and control (no treatment) on vitality, growt...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韓國土壤肥料學會誌 2011, 44(2), , pp.206-214
Hauptverfasser: 김현철(Hyun-Chul Kim), 여진기(Jin-Kie Yeo), 구영본(Yeong-Bon Koo), 신한나(Hanna Shin), 최진용(Jin-Young Choi), 이헌호(Heon-Ho Lee)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Fifteen clones of poplars, 2 clones of willows, and yellow poplar were us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5 treatments such as SCBLF (slurry composting and biofiltration liquid fertilizer), general slurry liquid fertilizer, chemical fertilizer, groundwater, and control (no treatment) on vitality, growth performance, and biomass production. Five cuttings for each tree species were planted in 3 replications. After planting cuttings, a coppice was induced by cutting off stems at 10cm above the ground. Data were collected for first growing season and trees were harvested at the end of October. Maximum mortality rate i.e. 96% was recorded in the cuttings treated with groundwater and minimum 92% with control (no treatment). In all tree species, sprouting of stump was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the treatments. Total nitrogen concentrations of leaves and stump sprouts were higher in the treatment of SCBLF than the control, 26.6% and 22.9%, respectively. Biomass production was highest in the stumps treated with chemical fertilizer, $1.98Mg\;ha^{-1}\;year^{-1}$, and lowest in control ($1.34Mg\;ha^{-1}\;year^{-1}$). SCB액비, 저장액비, 화학비료, 지하수 및 무처리에 따른 포플러 및 버드나무 클론, 백합나무의 생존율은 전체 평균 94.4%로 나타나 양호하였으며, 잎과 줄기의 비율은 각각 63.5%, 36.5%로 매년수확구의 식재당년 지상부 biomass는 잎의 비율이 높았다. 처리구별 줄기발생 수는 SCB액비, 저장액비, 화학비료, 지하수 및 무처리구가 평균 4.2, 4.6, 4.5, 4.7, 4.9개로 크게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버드나무 클론들의 줄기 수가 포플러 클론 및 백합나무 보다 많았다. 줄기직경과 지상부 biomass에 대하여 개체당 유도된 회귀모델을 통해 추정된 biomass 생산량은 화학비료>저장액비>지하수>SCB액비>무처리구 순으로 나타났다. 수종 및 클론별 지상부 biomass 생산량은 모든 처리구에서 현사시 클론들이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SCB액비 처리에 따른 잎과 줄기의 질소함량을 분석한 결과 무처리구 보다 질소함 량이 높게 나타나 SCB액비에 함유된 질소를 체내에 흡수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SCB액비를 biomass 매년수확구에 처리한 결과 화학비료, 저장액비, 지하수 처리구보다 생산량이 적게 나타났지만 무처리구 보다는 생산량이 증가하여 향후 처리방법이나 적정 처리량 등을 구명하여 적용한다면 화학비료와 비슷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가축분뇨 처리비용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biomass 매년수확구의 식재당년의 결과이며, 식재한 묘목의 수령이 증가하고 입지환경에 적응되면 바이오매스 생산량도 대폭 증가할 것이므로 이와 같은 연구가 반복적으로 수행되어야 보다 확실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ISSN:0367-6315
2288-2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