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가시 모자반 에탄올 추출물의 항아토피 효과

본 연구는 DNCB 도포를 통해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시킨 BALB/c mice에 SMEE를 2주 동안 지속적으로 처리하여 SMEE의 아토피 피부염 완화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따라서 IFN-γ 및 IL-4 cytokine의 분비량, 비장세포 증식능, 혈청중 총 IgE 함량, 육안 평가 및 skin clinical severity score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SMEE를 지속적으로 도포함으로써 IL-4 cytokine과 총 IgE 함량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IFN-γ cytokine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2014, 42(1), , pp.82-88
Hauptverfasser: 임무혁, Moo Hyeog Im, 안동현, Dong Hyun Ahn, 박홍민, Hong Min Park, 김민지, Min Ji Kim, 김보람, Bo Ram Kim, 김꽃봉우리, Koth Bong Woo Ri Kim, 정다현, Da Hyun Jeong, 강보경, Bo Kyeong Kang, 박시우, Si Woo Bark, 박원민, Won Min Pak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본 연구는 DNCB 도포를 통해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시킨 BALB/c mice에 SMEE를 2주 동안 지속적으로 처리하여 SMEE의 아토피 피부염 완화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따라서 IFN-γ 및 IL-4 cytokine의 분비량, 비장세포 증식능, 혈청중 총 IgE 함량, 육안 평가 및 skin clinical severity score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SMEE를 지속적으로 도포함으로써 IL-4 cytokine과 총 IgE 함량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IFN-γ cytokine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세포증식능 측정결과, SMEE 처리구의 경우 negative control군과 유사한 수준까지 억제됨을 나타냈으며, 비장세포의 비이상적인 증식에 SMEE 도포처리가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육안평가 및 skin clinical severity score 결과, SMEE를 2주간 지속적으로 도포 처리하였을 때, 그 증상이 눈에 띄게 완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score 또한 positive control과 비교 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결과적으로 SMEE는 Th1 cytokine 생성은 증가시키고 Th2 cytokine 생성은 억제하여 IgE의 과다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에 뛰어난 효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Atopic dermatitis (AD) is a common chronic inflammatory disease preceding the development of allergic disorder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Sargassum micracanthum ethanol extract (SMEE) on AD. AD was induced by spreading 2, 4-dinitrochlorobenzen (DNCB) on the back sides of BALB/c mice. The efficacy of SMEE was tested by observing the skin clinical severity score, proliferations of Raw 264.7 cells and the secretion of cytokines and IgE. The secretion of IL-4, and Ig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SMEE in a dose dependent manner, while IFN-γ was increased. In addition, SMEE alleviated the AD symptoms better when compared to the positive control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MEE has an inhibitory effect on AD, and may serve as a useful biomaterial for the development of cosmeceuticals.
ISSN:1598-642X
2234-7305
DOI:10.4014/kjmb.1401.0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