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물용 콩 파종기에 따른 콩나물의 하배축 및 생장특성 차이
본 연구는 나물용 콩의 파종기가 콩나물 원료콩의 배축신장성과 콩나물 생장 및 수율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함으로써 양질 콩나물 품종육성과 재배기술 확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2000~2001 년에 호남농업연구소 전작시험포장에서 파종기를 달리하여 생산된 원료콩을 이용하여 실험실과 콩나물 간이검정실에서 시험을 수행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재배온도별 콩나물의 배축신장성은 재배온도가 높을수록 빨랐으며, 재배일수가 길어질수록 그 차이가 컸다. 2. 콩나물의 배축장과 근장은 연차간에 차이가 있었으며 7월 5일 파종이 5월...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2006, 51(6), , pp.608-617 |
---|---|
Hauptverfasser: | ,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본 연구는 나물용 콩의 파종기가 콩나물 원료콩의 배축신장성과 콩나물 생장 및 수율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함으로써 양질 콩나물 품종육성과 재배기술 확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2000~2001 년에 호남농업연구소 전작시험포장에서 파종기를 달리하여 생산된 원료콩을 이용하여 실험실과 콩나물 간이검정실에서 시험을 수행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재배온도별 콩나물의 배축신장성은 재배온도가 높을수록 빨랐으며, 재배일수가 길어질수록 그 차이가 컸다. 2. 콩나물의 배축장과 근장은 연차간에 차이가 있었으며 7월 5일 파종이 5월 25일과 6월 15일 파종보다 길었고, 배축굵기는 도레미콩이 가장 굵었으며 한남콩이 가늘었다. 전장은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길어졌고 은하콩이 가장 길었으며, 다원콩이 가장 짧았다. 3. 콩나물의 부패립율과 불완전발아립율은 파종기가 늦어지면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부패립율은 다원콩이 가장 낮았고 소명콩이 가장 높았으며 불완전발아립율은 풍산나물콩이 가장 낮았고 한남콩이 가장 높았다. 4. 콩나물 수율은 2001년에 생산된 종실에서 더 높았고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증가하였으며, 은하콩과 도레미콩이 높았고 파종기에 따른 콩나물 수율의 변이가 적고 안정적인 품종은 풍산나물콩과 소명콩이었다. 5. 콩나물 수율과 제형질과의 관계는 종실의 수분흡수율이 낮고 치상 1일과 4일후의 발아율이 높은 것이 콩나물 수율이 높았으며, 콩나물 수율과 배축장, 근장 및 개체당 생중과는 정의 상관이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wing date on soybean-sprout growth characters and for improving cultural techniques to produce high quality soybean-sprout. Six sprout-soybean cultivars were planted on three sowing dates in 2000 and 2001. The growth of hypocotyl in soybean sprouts was accelerated at higher temperature and the differences among cultivars became greater at later culture days. The longest of hypocotyl and root lengths of soybean sprouts was obtained from July 5 sowing, followed by May 25 and June 15 sowing. Doremikong and Hannamkong had the thickest and the thinness hypocotyls, respectively. Total length of soybean-sprouts was longer in seeds harvested from later sowing, respectively. Eunhakong produced the longest soybean-sprouts, while Tawonkong produced the shortest. Percentage of rotten seed and imperfectly germinated seed harvested at later sowing was lower. Somyeongkong and Tawonkong showed the highest and the lowest percentages of rotten seeds, respectively, while Pungsannamulkong and Hannamkong showed the lowest and the highest percentages of imperfectly germinated seeds. The soybean-sprouts yields were higher in seeds harvested in 2001 and later sowing. Although Eunhakong and Doremikong showed higher soybean-sprout yield, Pungsannamulkong and Somyeongkong showed stable soybean-sprout yield regardless of the sowing dates. |
---|---|
ISSN: | 0252-9777 2287-843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