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재래종 콩의 수집지대별 생태적 특성 및 품질 차이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seed qualities of 827 Korean soybean landraces according to the collecting areas.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seed qualities was examined according to the localities by weather characteristics. Days to flowering was the longest (m...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2008, 53(0), , pp.96-102
Hauptverfasser: 한원영, 박금룡, 김현태, 고종민, 백인열, 이충열, 정명근, Han, Won-Young, Park, Keum-Yong, Kim, Hyun-Tae, Ko, Jong-Min, Baek, In-Youl, Lee, Chung-Yeol, Choung, Myoung-Gun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seed qualities of 827 Korean soybean landraces according to the collecting areas.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seed qualities was examined according to the localities by weather characteristics. Days to flowering was the longest (mean 70.9 days) in the northwest seashore, and the most short in the south inland (mean 63.8 days). Growth days was the longest in the Gyeongbuk inland (mean 136.0 days), and the most short in the mountain-high (mean 132.8 days). The stem height was the most short in the north-west seashore (mean 81.3 cm), and in the south seashore (mean 58.8 cm). The seed weight of 100 seeds was the lightest in the north-west seashore (mean 17.1 g), and the heaviest in the south-west seashore (mean 21.5 g). The crude protein contents was the lowest in the north-west seashore (mean 40.1%), the highest in the south seashore (mean 42.8%), and vice versa in the crude oil. The contents of sucrose and oligo-saccharide was the highest 5.8% and 8.6%, respectively, in the mountain-high, and the lowest 4.8% and 7.6% in the Gyeongbuk inland and south seashore, respectively. Among the iso-flavone contests, the contents of genistein and total was the highest, $635.6\;{\mu}g/g$ and $1258.1\;{\mu}g/g$, respectively, in the mountain inland, and the lowest $319.2\;{\mu}g/g$ and $835.3\;{\mu}g/g$ in the south-west seashore. The contents of glycitein was the highest $124.3\;{\mu}g/g$ in the south seashore. 기상 등 환경요인에 의한 수집지대를 구분하여 재래종 콩 유전자원에 대한 생태형 및 품질 특성을 평가하여 품종육성에 이용코자 실시한 본 시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의 기후지대별 콩 성숙군 분류기준으로 생육 일수의 분포를 보면, 성숙군 3군중에서 기후지대 5군(충남 서해안지역), 6군(남부내륙 지역)에서 수집한 유전자원이 가장 많았다. 조생종인 성숙군 0군과 I군은 비교적 고르게 분포하였으나 지대 6에서 많이 수집되었고, 만생종인 성숙군 V군과 VI군은 주로 지대6군(경북내륙 지역), 지대7군(남부내륙 지역) 및 지대 8군(남해안지역)에서 주로 분포하였다. 2. 수집된 재래종의 수가 적은 지대1과 지대4를 제외한 기후지대별 성숙군의 분포를 보면, 성숙군 III군과 II군의 비율이 기후 지대 6과 지대8을 제외한 지역에서 높았으며, 기후 지대6에서는 성숙군 III군의 콩이 없었다. 또한 지대7과 지대8에서는 다양한 성숙군을 가진 콩들이 분포하고 있었다. 극조생과 극만숙종을 제외한 성숙군을 기후지대별 분포에서, 140일에서 155일 사이의 생육일수에 기후 지대6과 지대8지역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124일에서 139일까지는 지대별로 고르게 분포하고 있었다. 3. 경장은 지대1이 65.8 cm로 가장 작았으며, 지대8이 81.3 cm로 가장 컸고, 주경절수는 지대1이 14.8개로 가장 적었고, 지대8이 17.1로 가장 많았으며, 개체당 분지수는 지대5에서 4.4개로 가장 적었고, 지대 1에서 6.2개로 가장 많았다. 4. 개체당 협수는 지대5에서 68.0개로 가장 적었으며, 지대 8에서 91.8개로 가장 많았다. 또한 불마름병에 대한 저항성 정도는 지대5에서 가장 강하였으나, 지대4에서 가장 약하였다. 5. 기후 지대별 100립중 분포는, 기후지대 지대1, 지대2, 및 지대4에서는 100립중이 25 g이하인 비율이 높았으며, 지대5, 지대6, 지대7 및 지대8에서는 상대적으로 100립중이 20.1-25.0 g의 비율이 높아졌으며, 지대3에서는 지대1 유형과
ISSN:0252-9777
2287-8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