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종기 차이에 따른 등숙기간 중 검정콩의 아이소플라본 함량 변화

본 연구는 콩에 함유된 아이소플라본 합성에 관여하는 요인 중 평균기온이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시험품종은 생태형이 다른 일품검정콩, 청자콩, 흑청콩 3품종을 사용하였다. 파종은 5월 15일, 5월 30일 6월 15일 3시기에 재식밀도 60×15cm 로 하였다. 재배관리는 경기도 콩 표준재배법에 준하여 하였다. 아이소플라본 함량 분석은 개화기후 30일부터 5일 간격으로 수확기까지 채취하여 얻은 시료를 UPLC로 분석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아이소플라본 함량은 시험품종 모두 파종기가 늦을수록 높았다. 2. 아...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2012, 57(4), , pp.424-429
Hauptverfasser: 이은섭(Eun-Seob Yi), 윤성탁(Seong-Tak Yoon)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본 연구는 콩에 함유된 아이소플라본 합성에 관여하는 요인 중 평균기온이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시험품종은 생태형이 다른 일품검정콩, 청자콩, 흑청콩 3품종을 사용하였다. 파종은 5월 15일, 5월 30일 6월 15일 3시기에 재식밀도 60×15cm 로 하였다. 재배관리는 경기도 콩 표준재배법에 준하여 하였다. 아이소플라본 함량 분석은 개화기후 30일부터 5일 간격으로 수확기까지 채취하여 얻은 시료를 UPLC로 분석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아이소플라본 함량은 시험품종 모두 파종기가 늦을수록 높았다. 2. 아이소플라본 함량은 품종과 파종기에 관계없이 genistein이 가장 높았고, 다음은 daidzein, glycitein 순이었는데, glycitein은 개화기 후 45~55일경 이후에는 뚜렷한 증가를 보이지 않았고, 등숙기간중 기온변화에 안정적이었다. 3. 아이소플라본 중 genistein 함량이 daidzein 함량보다 높아진 시기는 일품검정콩은 개화기 후 50~55일, 청자콩은 개화기 후 40~55일, 흑청콩은 개화기 후 60~65일이었다. 4. 등숙기간중 개화기 후 30일부터 5일 간격으로 평균기온과 아이소플라본 함량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일품검정콩에서 genistein은 y=-15.28x+407.9 (R2=0.505* ), 청자콩에서 diadzein은 y=-6.188x-164.5(R2=0.454* )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genistein은 y=-11.59x+297.6(R2=0.545**)으로 고도의 유의한 상과관계를 보였다. 5. 아이소플라본 함량이 높은 검정콩 생산이 적합한 지역은 등숙기간중 립비대기(R5 )~생리적 성숙기(R7 )의 평균기온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기북부지역과 강원도, 충청북도, 경상북도의 내륙지역과 고지대일 것으로 고찰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different planting time on the synthesis of isoflavone in black soybean, Three varieties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lpumgeomjeongkong, Cheongjakong and Heugcheongkong which had different ecotypes, repectively. Seeds were sown at different time, May 15th, May 30th and June 15th with planting density of 60~times15cm . In order to analyze the content of isoflavone, we collected sample every 5 days from 30 days after flowering to harvest and analyzed them with UPLC. As sowing was delayed, the content of isoflavone increased in all of three varieties. The content of genistein was greater than daidzein and glycitein. Increase of Glycitein was not distinct from 55 days after flowering(DAF) and it was stable against temperature change during the seed developing period. Although the content of genistein in Ilpumgeomjeongkong from 50 to 55 DAF, in Cheongjakong from 40 to 55 DAF and in Heugcheongkong from 60 to 65 DAF was lower than the content of daidzein, it was higher than that of daidzein afterward. In the statistical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verage temperature and the content of aglycone isoflavone at 5-day intervals from 30 DAF during the grain filling period, genistein in Ilpumgeomjeongkong showed meaningful correlation as y=-15.28x+407.9 (R2=0.505* ), diadzein in Cheongjakong showed meaningful correlation as y=-6.188x-164.5(R2=0.454* ), and genistein showed significantly high correlation as y=-11.59x+297.6 (R2=0.545** ). Taking all the above results into considerat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regions s
ISSN:0252-9777
2287-8432
DOI:10.7740/kjcs.2012.57.4.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