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턱뼈 절단면에서 턱뼈관의 위치

아래턱뼈 수술에서 아래이틀신경과 혈관다발이 지나가는 턱뼈관의 위치를 정확하게 알면 시술의 위험도 를 감소시키고, 새로운 시술의 개발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어, 아래턱뼈 절단면에서 턱뼈관의 위치를 해부 학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이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습시신 44구(남 23구, 여자 21구, 평균연령 66.5세)의 아래턱뼈 절단면에서 턱뼈관의 위치를 계측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획득하였다. 턱뼈관은 턱뼈몸통 먼쪽에서 안쪽에 위치하다 몸쪽으로 가면서 첫째와 둘째작은어금니 사이에서 바깥쪽을 향 하였고, 치아 가운데 턱뼈의 절단면에...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해부·생물인류학 2007, 20(3), , pp.169-178
Hauptverfasser: 윤양하(Yang-Ha Yoon), 정화해(Haw-Hae Jeong), 전유미(Yu-Mi Jeon), 이상완(Sang-Wan Lee), 이준희(Jun-Hee Lee), 송용태(Yong-Tai Song), 서윤경(Youn-Kyoung Seo), 백두진(Doo-Jin Paik)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아래턱뼈 수술에서 아래이틀신경과 혈관다발이 지나가는 턱뼈관의 위치를 정확하게 알면 시술의 위험도 를 감소시키고, 새로운 시술의 개발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어, 아래턱뼈 절단면에서 턱뼈관의 위치를 해부 학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이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습시신 44구(남 23구, 여자 21구, 평균연령 66.5세)의 아래턱뼈 절단면에서 턱뼈관의 위치를 계측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획득하였다. 턱뼈관은 턱뼈몸통 먼쪽에서 안쪽에 위치하다 몸쪽으로 가면서 첫째와 둘째작은어금니 사이에서 바깥쪽을 향 하였고, 치아 가운데 턱뼈의 절단면에서 턱뼈관의 바닥높이는 8.9±1.9mm인 첫째큰어금니 위치에서 가장 낮았고, 둘째큰어금니 위치에서 가장 좁아 이틀오목 아래끝에서 턱뼈관까지는 9.5±3.5mm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래턱뼈 시술에서 합병증을 감소시키거나 새로운 시술개발에 필요한 턱뼈관 위치에 대하여 보편적 경향을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complications and sequelae after the mandibular surgery are related to inferior alveolar neurovascular bundles, which pass through the mandibular canal. The knowledge of their positions would decrease the risk of mandibular surgery dramatically and would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new surgical technique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clarify the anatomical position of mandibular canal for the mandibular surgery. Forty four mandibules (23 males and 21 females average 66.5 years) obtained from the collection of Hanyang medical college were studied. The location of mandibular canal in the sections between premolars and molars were measured.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At first, the mandibular canal lay lingual to the distal part of the body of the mandible. It then ran anteriorly and to the buccal part of the mandible between the first and the second premolars. In the sections between premolars and molars, the distance between the mandibular canal and the lower border of mandibular body was 8.9±1.9 mm at the position of the first molar, the distance between the deepest point of the alveolar socket and the mandibular canal was 9.5±3.5 mm at the second molar, which was the narrowest poi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useful to decrease the risk of the mandibular surgery and to develop the new techniques for mandibul surgery in the field of the dentistry and maxillofacial surgery. KCI Citation Count: 0
ISSN:2671-5651
2671-566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