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의료 관련 전공자를 위한 해부학 가상강의 컨텐츠 개발 및 적용

최근 건강-의료 분야의 학과 신설 및 전공자가 급격하게 늘어남에 따라 해부학 교육의 질적 향상 및 학 습자의 학습효과 증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강의방식의 도입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해부학 과목 이 전공필수로 포함되어 있는 강원대학교 2개 학과(간호학과, 스포츠과학부)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해부학 강의를 위하여 강원대학교 e-러닝 센터와 함께 가상강의 컨텐츠를 개발 과정에 있어 담당교수의 역할을 분석하고, 정규교 육과정에서 적용한 후, 학생들의 설문 조사와 가상강의실 운영 성과를 평가하였다. 해부학 가상강의 컨텐츠와 운...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해부·생물인류학 2009, 22(1), , pp.47-59
Hauptverfasser: 김찬웅(Chan-Woong Kim), 김지희(Jee-Hee Kim), 박경한(Kyeong-Han Park), 김대중(Dae-Joong Kim), 한장희(Jang-Hee Hahn), 이영일(Young-Il Lee), 최영철(Young-Cheol Choi), 박정현(Jeong-Hyun Park)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최근 건강-의료 분야의 학과 신설 및 전공자가 급격하게 늘어남에 따라 해부학 교육의 질적 향상 및 학 습자의 학습효과 증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강의방식의 도입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해부학 과목 이 전공필수로 포함되어 있는 강원대학교 2개 학과(간호학과, 스포츠과학부)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해부학 강의를 위하여 강원대학교 e-러닝 센터와 함께 가상강의 컨텐츠를 개발 과정에 있어 담당교수의 역할을 분석하고, 정규교 육과정에서 적용한 후, 학생들의 설문 조사와 가상강의실 운영 성과를 평가하였다. 해부학 가상강의 컨텐츠와 운영에 대하여 학생들의 만족도와 활용가능성, 난이도, 운영의 적절성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가상강의실 게시판 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이 자율적이고 능동적인 학습활동을 보였다. 그러나 학 생들이 개선점으로 지적한 컨텐츠의 질적 향상 및 관련 자료의 보강은 시급히 개선해야 할 부분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강-의료 분야의 전공자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요구하고 있는 강의수요에 비해 턱없 이 부족한 해부학 전공 교수진의 교육 부담을 경감하고 해부학교육에 있어 새로운 지평을 열 수 있는 가상강의에 대한 연구로서, 향후 해부학 강의에 있어 충분한 활용가치가 있는 효과적인 교수법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implement a progressive e-learning teaching method in the teaching of human anatomy. For analysis of the effect of new teaching methods, we made a survey of user satisfaction, content difficulty, and course management. The e-learning content was developed by the authors and implemented to class, practice, and tests, for 16 week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sophomores of nursing science (NS, n=42) and sports science (SS, n=26), at Kangwon National University. These two groups of students filled out a questionnaire related to effectiveness of e-learning content and tool in learning human anatomy. The results were compared between two groups.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content, difficulty level, and management of the e-learning course. Through the board of virtual classroom, all of the students played positive manners in communication and activity. Students pointed out ‘reinforcement of multimedia data’, ‘improvement of technical service’ and ‘addition of broad information’ as the most notable improvements of content. Therefore, we conclude that an e-learning course for undergraduate nursing science and sports science students can provide an effective learning model. KCI Citation Count: 4
ISSN:2671-5651
2671-566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