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선수의 혈청 총 호모시스테인 농도와 생화학적 대사변인 및 심장구조의 관련성

이 연구는 운동선수(육상, 축구, 농구)의 혈청 총 호모시스테인 농도가 생화학적 대사변인과 심장구조 및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기 위하여 운동선수군 31명, 대조군 31명을 대상으로 심장초음파검사 (3D echocardiography)와 혈장 생화학적인 변인을 분석하였다. 운동선수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보다 높은 확장기말 왼 심실 내경, 수축기말 왼심실 내경, 1회 박출량, 크레아틴키나아제 및 유산탈수소효소 값을 보인 반면 내경단축율, 안정시 심박수, 심박출량 값 및 혈청 크레아티닌 농도는 대조군보다 낮게 나타났으며(p⁄.05),...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해부·생물인류학 2008, 21(4), , pp.305-315
Hauptverfasser: 정인근(In-Geun Jung), 강형숙(Hyung-Sook Kang)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이 연구는 운동선수(육상, 축구, 농구)의 혈청 총 호모시스테인 농도가 생화학적 대사변인과 심장구조 및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기 위하여 운동선수군 31명, 대조군 31명을 대상으로 심장초음파검사 (3D echocardiography)와 혈장 생화학적인 변인을 분석하였다. 운동선수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보다 높은 확장기말 왼 심실 내경, 수축기말 왼심실 내경, 1회 박출량, 크레아틴키나아제 및 유산탈수소효소 값을 보인 반면 내경단축율, 안정시 심박수, 심박출량 값 및 혈청 크레아티닌 농도는 대조군보다 낮게 나타났으며(p⁄.05), 혈청 총 호모시스테 인 농도의 분포는 운동선수군과 대조군 모두 정규분포를 보였으며,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 요인으로서 10 μmol/L 의 농도에 해당하는 비율은(운동선수군 74.2%, 대조군 87.1%) 두 군 모두 비교적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청 총 호모시스테인 농도는 운동선수군의 경우 혈청 크레아티닌 및 요산 농도와 유의한 관련성 (p⁄.05)을 나타내었고, 혈청 총 호모시스테인 농도는 대조군에서 내경단축율(FS (%))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지만(p¤.05), 운동선수군에서는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종합해 볼 때 혈청 총 호모 시스테인 농도는 운동선수와 대조군 모두 상이한 방식으로 심장구조 및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 in serum total homocysteine (tHcy) concentration between controls and athletes, and examine its influence on biochemical parameters or cardiac structure and function of our study participants. Biochemical assay including serum tHcy and folic acid concentration were performed by automatic analyzer, and analyses on cardiac structure and function of study participants carried out by 3D echocardiography,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rum tHcy and biochemical parameters such as serum creatinine and uric acid concentration in athletes, while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rum tHcy and echocardiographic parameter such as FS (%) value in controls (p⁄.05). In conclusion, our data suggest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serum tHcy concentration and clinical parameters in athletes might be at least in part controlled by the difference way with controls. Further studies using larger sample size will be necessary to clarify the precise mechanism behind these interactions. KCI Citation Count: 1
ISSN:2671-5651
2671-566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