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과대학 학생의 맨눈해부학 지식에 대한 임상교수의 인식도 조사

의과대학과 의학전문대학원에 통합교육과정이 도입되면서 임상실습 기간의 확대로 기초의학의 강의 시간이 줄어들었으며, 대학에 따라서 맨눈해부학 교육의 시간과 내용은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재학생과 졸업생의 해부학 지식의 저하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해부학 교수와 학습의 방향 설정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임상실습 과정 학생들의 맨눈해부학 지식과 교육과정 내에서 해부학 교수법의 현 상태에대하여 임상실습을 지도하는 임상 교수의 인식도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였다. 부산∙경남지역의 5개 의과대학에근무하는 임상교수를 대...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해부·생물인류학 2014, 27(4), , pp.211-218
Hauptverfasser: 임선주(Sun-Ju Im), 감비성(Bee-Sung Kam), 이상엽(Sang-Yeoup Lee), 우재석(Jae-Seok Woo), 이종태(Jong-Tae Lee), 이상화(Sang-Hwa Lee), 임학(Hak Im), 조경제(Gyeong-Je Cho), 백선용(Sun-Yong Baek)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의과대학과 의학전문대학원에 통합교육과정이 도입되면서 임상실습 기간의 확대로 기초의학의 강의 시간이 줄어들었으며, 대학에 따라서 맨눈해부학 교육의 시간과 내용은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재학생과 졸업생의 해부학 지식의 저하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해부학 교수와 학습의 방향 설정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임상실습 과정 학생들의 맨눈해부학 지식과 교육과정 내에서 해부학 교수법의 현 상태에대하여 임상실습을 지도하는 임상 교수의 인식도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였다. 부산∙경남지역의 5개 의과대학에근무하는 임상교수를 대상으로 학생들의 맨눈해부학 지식에 대한 인식도를 설문 조사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임상교수의 입장에서 졸업생의 임상해부학 지식 정도(2.4±0.6)와 고학년 학생의 전반적인 해부학 지식(2.6±0.7)의 저하를 우려하였으며, 선택 집중해부실습(3.8±0.9)과 해부학 교육 시기 확대(3.3±1.0)에 긍정적이었다. 학생들의 전반적 국소해부학 지식의 수준에 대해서는 외과계열과 영상의학, 외과계열과 기타계열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5), 외과 계열이 해부학 지식수준의 저하를 가장 우려하였다. 해부학교육 시기의 확대에 대해서는 영상의학이 내과, 외과 및 기타 계열과 유의한 차이를 보여 가장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다(p⁄0.001). 학생들이 해부학 지식이 낮은 원인으로는 임상맥락이 적은 해부학교육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통합교육과정에 따른 해부학의 정체성 감소였다. There is concerns about the perceived decline in the knowledge of gross anatomy of the medicalstudents and postgraduate trainees. It is partly caused by the introduction of integrated medical curriculum and theshortage of basic medical science program and the extension of clinical clerkship consequently. There is widespreadvariability in the teaching style and anatomical curricular content at the medical school in Korea. Despite thesechanges in the anatomical education, there have been few attempts to assess the opinions of senior clinical teacherson the state of anatomical knowledge of students and the place of anatomy teaching within the curriculum. Wesought the views of the clinical teachers on the adequacy of the anatomical knowledge of current students andrecent graduates of 5 medical schools in Pusan and Gyeongsang-Nam do areas. Most of the clinical teachers were of the opinion that current medical students have an insufficient anatomicalknowledge. They indicated the causes of decline were the clinical irrelevant anatomical teaching content and weaknessof identity of anatomy by the introduction of the integrated medical education program. There was widespreadsupport for both the concepts of spreading anatomy teaching throughout the medical course, and an optional,clinically related final year student project in the anatomy. KCI Citation Count: 3
ISSN:2671-5651
2671-566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