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식장 환경이 갯벌양식 굴 (Crassostrea gigas)의 성장과 폐사에 미치는 영향

In order to evaluate how the effects of aquacultural environment, such as temperature, salinity, DO, SS, Chlorophyll-a, COD and nutritive salts on Cupped oysters, an investigational study was conducted between September to December of 2011. During the study, different intermediate cage farms on the...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2013, 29(4), , pp.273-281
Hauptverfasser: 박상우, 김용, 김지혜, 정수환, 한경남, Park, Sang-Woo, Kim, Yong, Kim, Ji-Hye, Chung, Su-Whan, Han, Kyung-Nam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In order to evaluate how the effects of aquacultural environment, such as temperature, salinity, DO, SS, Chlorophyll-a, COD and nutritive salts on Cupped oysters, an investigational study was conducted between September to December of 2011. During the study, different intermediate cage farms on the surface of the sea were used to culture and compare the growth and survival rate of the Cupped oysters in different fishing environments. The different intermediate cage farms used were Wonsando-ri, Chang-ri, and Pado-ri. In January of 2012, these oysters were transplanted to a horizontal net farm in a mudflat until July of that year. The adaptation rates of the Cupped oysters were tested at differential exposure times at varying intertidal periods. Wonsando-ri showed the highest water temperature and Chlorophyll-a levels, while the salinity was found to be within range of stable conditions among all three intermediate cage farms. Once the Cupped oysters were at the horizontal net farm, the growth was measured at distinct tidal exposure time of 1, 3, and 5 hours, whereby the growth rate was highest at 3, 1, and 5 hour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oysters cultivated in intermediate cage farms had longer shell lengths compared to shell heights, while oysters cultured in the horizontal net farm had larger shell heights than shell lengths. 갯벌양식 굴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자 2011년 9월부터 12월까지 어장환경이 서로 상이한 해면 가두리 중간육성장에서 성장과 폐사를 비교하고 2012년 1월 갯벌 수평망식 본양성장에 이식하여 7월까지 조간대 노출시간 별 갯벌양식 굴의 순응 결과를 조사하였다. 해면 가두리 중간육성장의 경우 각 양식장간에 수온과 영양 염류를 제외한 환경요소가 뚜렷한 차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참굴의 성장에 차이가 있었다. 해면 가두리 중간육성장의 수온은 원산도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염분은 세 지역 모두 안정적인 변화 양상을 보였으며 Chlorophyll-a 농도는 수온과 비례하는 경향을 보였다. 갯벌지역의 수온은 해면지역에 비해 변화 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해면 가두리 중간육성장 갯벌 양식 굴의 성장은 원산도리, 창리, 파도리 순으로 나타났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장이 감소하였다. 갯벌 수평망식 본양성장 갯벌양식 굴의 성장은 3시간, 1시간, 5시간 대기노출 순으로 나타났으며, 수온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수온이 $5^{\circ}C$ 이하로 내려간 1월에는 성장이 크게 낮아졌으나 폐사율의 뚜렷한 경향은 보이지 않았고, 수온이 올라가는 3월부터 성장률이 증가하였으나 월평균 수온의 변동폭이 높았던 4-6월에 폐사율이 급증하였다. 한편, 해면 가두리 중간육성장에서 수용한 참굴은 각장 대비 각고가 길게 성장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다시 갯벌 수평망식 본양성장에 이식 후 수용하면서 각고 대비 각장이 크게 성장하였다.
ISSN:1225-3480
DOI:10.9710/kjm.2013.29.4.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