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상이 동반된 동맥관 개존증 만삭아에서Indomethacin의 치료효과

목적 : Indomethacin은 동맥관 개존을 가진 미숙아에서 예방요법 및 일차 치료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혈역학적으로의미 있는 동맥관 개존을 가진 만삭아에 대한 indomethacin 치료에 관하여는 아직까지 논란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본 연구는 만삭아에서 동맥관 개존에 대한 indomethacin 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 2007년 1월부터 2009년12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에서 증상이 동반된 동맥관 개존증으로 치료를 받은 2,500 g이상, 재태 주령 37주 이상인 만삭아를 대상으로 indomethac...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Perinatology (Online) 2013, 24(4), , pp.237-243
Hauptverfasser: 김한결, 최인수, 조화진, 송은송, 조영국, 최영륜, 마재숙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 Indomethacin은 동맥관 개존을 가진 미숙아에서 예방요법 및 일차 치료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혈역학적으로의미 있는 동맥관 개존을 가진 만삭아에 대한 indomethacin 치료에 관하여는 아직까지 논란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본 연구는 만삭아에서 동맥관 개존에 대한 indomethacin 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 2007년 1월부터 2009년12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에서 증상이 동반된 동맥관 개존증으로 치료를 받은 2,500 g이상, 재태 주령 37주 이상인 만삭아를 대상으로 indomethacin 치료의 효과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Indomethacin치료의 반응에 따라 1) indomethacin 치료 후에 완전 폐쇄된 완전 반응군, 2) 완전히 폐쇄되지는 않았으나 추가적인 치료 없이 임상 소견이 호전된 부분 반응군, 3) 반응을 보이지 않아서 추후 수술적 결찰을 시행한 비 반응군으로 구분하였다. 결과 : 동맥관 개존을 가진 만삭아 29명에서 indomethacin으로 치료한 후에 21명(72.4%)에서 indomethacin 치료에완전 폐쇄와 부분폐쇄를 보이며, 13명(44.8%)이 완전 반응군, 8명(27.6%)이 부분 반응군, 나머지 8명(27.6%)은 비 반응군이었다. 출생 체중, 동맥관 최소 직경, indomethacin 투여 횟수는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indoemthacin을 처음 투여한 시기에 있어서 완전 반응군(4.8±4.5일, P=0.03)과 부분 반응군(6.3±2.0 일, P=0.04)이 비반응군(13.8±8.1일)에 비해 더 빨랐다. 결론 : 만삭아의 동맥관 개존증 치료에 있어서 수술적 치료 이전에 우선적으로indomethacin 정주 치료를 시행함으로써 동맥관의 완전 폐쇄 및 부분 폐쇄를 통한 임상 증상 호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 Indomethacin has been reported as the prophylaxis and initial treatment of preterm infants with patentductus arteriosus (PDA). However, there was controversy over indomethacin treatment in full-term infants withsymptomatic PDA. Therefore, we evaluate the effect of indomethacin as a treatment of full-term infants withsymptomatic PDA. Methods : A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indomethacin in full-terminfants who had birth weight ≥2,500 g and a gestational age ≥37 weeks with symptomatic PDA at Chonnam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uary 2007 and December 2009. According to responsiveness ofindomethacin, we classified them into three groups: 1) complete responder which were completely closed afterindomethacin treatment, 2) partial responder which were incompletely closed but symptoms were improved, 3)non responder which were conducted surgical ligation because did not respond. Results : Among the total 29 full-term infants treated with indomethacin, 13 (44.8%) were complete responder,8 (27.6%) were partial responder, and 8 (27.6%) were non respond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birth weight, narrow diameter of PDA, and dose of indomethacin between three groups. However, the age atinitiation of treatment using indomethacin of complete (4.8±4.5 days, P =0.03) and partial responder (6.3±2.0days, P =0.04) were earlier than those of non responder (13.8±8.1 days). Conclusion : Indomethacin can expect an effective treatment of PDA in full-term infants prior to surgical ligation. KCI Citation C
ISSN:2508-4887
2508-48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