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와하벽골절정복술에서 수술 중 측정한 안구돌출 계측치가 안구함몰의 교정에 미치는 효과
목적: 안와하벽골절 환자에서 수술 중 안구함몰을 교정한 후 안구돌출 정도를 측정하여 수술 후 안구함몰이 교정되는 정도를 분석함으로써 안구함몰의 교정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4년 1월부터 2016년 4월까지 본원 안과에서 안와하벽골절로 진단받고, 수술한 60명 60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1군은 2015년 1월부터 2016년 4월까지 수술한 30명을, 2군은 2014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수술한 30명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안구돌출 계측치는 1군은 Naugle 안구돌출계를 사용하여 수술 전...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17, 58(7), , pp.769-775 |
---|---|
Hauptverfasser: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안와하벽골절 환자에서 수술 중 안구함몰을 교정한 후 안구돌출 정도를 측정하여 수술 후 안구함몰이 교정되는 정도를 분석함으로써 안구함몰의 교정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4년 1월부터 2016년 4월까지 본원 안과에서 안와하벽골절로 진단받고, 수술한 60명 60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1군은 2015년 1월부터 2016년 4월까지 수술한 30명을, 2군은 2014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수술한 30명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안구돌출 계측치는 1군은 Naugle 안구돌출계를 사용하여 수술 전, 수술 중 임플란트 삽입 전과 임플란트 삽입 후, 수술 6개월 후에 측정하였고, 2군은 Hertel 안구돌출계를 사용하여 수술 전과 수술 6개월 후에 측정하였던 수치를 비교하였다. 임플란트의 두께는 수술 전 측정한 안구돌출 정도에 따라 결정하였고 1군의 환자들 중 골절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환자들에서는 0.5 mm 정도의 과교정을 시행하였다.
결과: 환자의 평균 나이는 1군은 32.4세였고 2군은 34.3세였다. 외상에서 수술까지의 평균 시간 간격은 1군은 평균 4.2주, 2군은 평균 2.3주였다. 수술 전 양안의 안구돌출 값의 차이는 1군은 평균 -1.78 ± 0.31 mm, 2군은 -1.81 ± 0.26 mm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236). 수술 후 6개월째 양안의 안구돌출 값의 차이는 1군은 -0.25 ± 0.78 mm, 2군은 -0.53 ± 0.46 mm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34).
결론: 안와하벽골절 정복 시 안와골절의 크기와 안구돌출 계측치가 임플란트의 크기와 두께를 결정하는 중요한 지표이다. 이 지표에 더하여 수술 중 임플란트 삽입 전후 안구돌출 정도를 측정하여 안구함몰을 교정하는 것이 안와골절의 정복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Purpose: To measure the enophthalmos corrective effect after inferior orbital wall reconstruction, we compared preoperative and intraoperative exophthalmometric values with postoperative exophthalmometric values.
Methods: From January 2014 to April 2016, 60 eyes of 60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for inferior orbital wall fracture were included. In Group 1, the exophthalmometric value was measured before surgery, during the operation, and 6 months after surgery using the Naugle exophthalmometer. In Group 2, the value was measured before surgery and 6 months after surgery using the Hertel exophthalmometer. The thickness of implants was determined by preoperative exophthalmometric values and overcorrection of 0.5 mm was performed in Group 1 patients with relatively large fractures.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32.4 years in Group 1 and 34.3 years in Group 2. The mean duration between injury and surgery was 4.2 weeks in Group 1 and 2.3 weeks in Group 2.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operative exophthalmometric values in Group 1 (-1.78 ± 0.31 mm) and Group 2 (-1.81 ± 0.26 mm), but postoperative exophthalmometric values between Group 1 (-0.25 ± 0.78 mm) and Group 2 (-0.53 ± 0.46 mm)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p = 0.034).
Conclusions: The exophthalmometric values and wall fracture size are important factors for determining implant thickness of inferior orbital wall reconstruction. Intraoperative measurement of exophthalmometric values should be considered in inferior orbital wall reconstruction for enophthalmos |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