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PLC-ICP-MS를 활용한 잡곡의 비소 화학종 및 위해 분석
본 연구는 최근 식생활 개선과 더불어 건강식의 원료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국내 유통 잡곡류에 대한 비소의 농도 수준을 확인하고, 비소를 구성하고 있는 화학종들을 분리 및 정량하여 섭취량에 따른 위해 수준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잡곡 12품목 188점을 현지 수거 후 분석에 활용하였는데, 총비소 분석은 일정량의 시료에 질산과 microwave를 이용하여 전처리한 후 ICP-MS를 이용하여 분석을 하였다. 비소화학종 분리 및 정량을 위하여 HPLC로 화학종을 선택적으로 분리하고 검출기 역할을 하는 ICP-MS를 결합한 형태인 HP...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Hanguk hwangyeong nonghak hoeji 2017, 36(2), , pp.119-128 |
---|---|
Hauptverfasser: | , , ,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본 연구는 최근 식생활 개선과 더불어 건강식의 원료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국내 유통 잡곡류에 대한 비소의 농도 수준을 확인하고, 비소를 구성하고 있는 화학종들을 분리 및 정량하여 섭취량에 따른 위해 수준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잡곡 12품목 188점을 현지 수거 후 분석에 활용하였는데, 총비소 분석은 일정량의 시료에 질산과 microwave를 이용하여 전처리한 후 ICP-MS를 이용하여 분석을 하였다. 비소화학종 분리 및 정량을 위하여 HPLC로 화학종을 선택적으로 분리하고 검출기 역할을 하는 ICP-MS를 결합한 형태인 HPLC-ICP-MS를 이용하여 비소 화학종을 분리 분석하였다.
추출 용매로는 증류수, 말론산, 질산을 이용하여 추출 효율을 비교한 결과 1% 질산이 비소 화학종 모두에서 양호한 추출효율을 보여 최종적으로 1% 질산을 추출용매로 선택하였고, 비소 화학종이 적절한 pH에서 전하를 띄는 특성을 고려하여 이동상으로는 ammonium carbonate, ammonium phosphate를 gradient 조건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법 검증을 위하여 검출한계, 정량한계, 직선성 및 회수율 모두 AOAC에서 권장하는 기준을 만족하여 총비소 및 비소 화학종 분리 분석 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품목별 총비소 평균 농도는 찹쌀 0.267±0.090 mg/kg, 검정현미0.241±0.137 mg/kg, 혼합곡 0.183±0.045 mg/kg의 순으로 나타났고, 무기비소 평균 농도는 찹쌀 0.149±0.056 mg/kg, 검정현미 0.136±0.075 mg/kg, 혼합곡 0.110±0.035 mg/kg의 순으로 총비소 결과값과 동일한 순서를 보였다. 총비소와 무기비소 농도의 상관 분석결과 총비소 농도가 높으면 무기비소 농도 또한 높은 농도를 보여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위해 평가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2012)를 근거로 잡곡에 대한 무기비소 위해 정도를 평가하였는데 품목별 무기비소 노출량은 혼합곡에서 19.91 μg/day로 가장 높은 노출량을 보였고, 찹쌀 1.07 μg/day, 검정현미 0.77μg/day, 보리 0.13 μg/day, 콩 0.11 μg/day 순으로 나타났다. 품목별로는 혼합곡이 PTWI 대비 16.89%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고, 찹쌀 0.91%, 검정현미 0.65%, 보리 0.11%, 콩 0.09%의 순으로 나타났다. 노출량에 따른 위해 수준은 잡곡 12품목 모두 일시에 섭취한다고 가정할 경우 PTWI 대비18.69% 수준으로, 잡곡류에 대한 무기비소의 인체 노출 및 위해 수준은 안전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BACKGROUND:Miscellaneous cereal have been largely consumed in Korea as due to their physiological functions beneficial to human health. The cereals are currently a social concern because they have been found to contain heavymetals. Thus,monitoring heavymetals in the cereals is an important requirement for food safety analysis. In this study, we determined arsenic concentration in the cereals randomly harvested from different markets.
METHODS AND RESULTS: Inorganic arsenic was determined by ICP-MS coupled with HPLC system. The HPLC-ICP-MS analysis was optimized based on the limit of detection and recover test to reach 0.13-1.24 μg/kg and 94.3-102.1%,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s of inorganic arsenic equivalent to daily exposure were levels of 19.91 μg/day inmixed grain, 1.07 μg/day in glutinous rice, 0.77 μg/day in black brown rice, 0.13 μg/day in barley and 0.11 μg/day in soybeans.
CONCLUSION: The levels of arsenic in miscellaneous cerealswere found lower than the recommended The Joint FAO/WHOExpert Committee on FoodAdditives (JECFA) levels, suggesting that the cerealsmarketed inKorea are not potential concern in risk assessment. |
---|---|
ISSN: | 1225-3537 2233-4173 |
DOI: | 10.5338/KJEA.2017.36.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