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방 추체간 유합술 시 금속 케이지를 이용한 자가 국소골 이식과 케이지 주변 동종골과 자가 국소골의 유합양상: 전산화 단층 촬영 분석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목적: 후방 추체간 유합술 시 금속 케이지를 이용한 자가 국소골 이식과 케이지 주변에 이식한 자가 국소골 및 동종골의 유합률 및 유합 양상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선행문헌의 요약: 금속 케이지를 이용한 자가 국소골 이식은 후방 추체간 유합술 시 장골능의 골채취 없이 골유합을 얻는데 효과적인 방법으로 생각된다. 국소골 케이지 외 추가적 골 이식이 유합율을 높이는지에 대한 연구는 별로 없다. 대상 및 방법: 요추부 질환으로 후방 추체간 유합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술 후 6개월에서 18개월 사이에 CT (co...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2017, 24(2), , pp.87-94
Hauptverfasser: 박찬호, 김응하, 윤건희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목적: 후방 추체간 유합술 시 금속 케이지를 이용한 자가 국소골 이식과 케이지 주변에 이식한 자가 국소골 및 동종골의 유합률 및 유합 양상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선행문헌의 요약: 금속 케이지를 이용한 자가 국소골 이식은 후방 추체간 유합술 시 장골능의 골채취 없이 골유합을 얻는데 효과적인 방법으로 생각된다. 국소골 케이지 외 추가적 골 이식이 유합율을 높이는지에 대한 연구는 별로 없다. 대상 및 방법: 요추부 질환으로 후방 추체간 유합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술 후 6개월에서 18개월 사이에 CT (computed tomography)를 촬영한 환자 39 명, 68분절을 대상으로 하였다. 후방 추체간 유합술 시 2개의 금속 케이지(C 구역)에 후궁절제술로 얻은 자가 국소골을 채운 후 사용하였다. 두 개의 케이지 사이에는 동결 건조 동종골(A 구역)을 이식하였고, 케이지 측면에도 자가 국소골(B 구역)을 이식하였다. CT 관상면을 분석하여 케이지 내부 및 주변 추체와의 골소주 형성 정도를 modified Bridwell criteri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유합골괴의 정량적 분석을 위해 전체 크기 중 방사선 비투과성 부분의 크기를 점수화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68분절 중에 64분절에서 유합되어 94.1%의 높은 유합률을 보였으며, A, B, C 구역 각각의 유합률은 86.8%, 89.7%, 94.1%로 나타났다. 골소주 형성과 유합골괴의 정량적 분석 모두 케이지 사이 동종골 이식부위(A 구역)에서 케이지 외측 자가 국소골 이식 부위(B 구역), 케이지를 내부 자가 국소골 이식 부위(C 구역) 로 갈수록 우수한 경향을 보였다(p<0.001).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케이지를 이용한 자가 국소골 이식 이외의 추가적 골 이식이 전체 유합율을 높이는 보완적 효과는 입증되지 않았으나 90% 내외에서 유합을 보여 유합 면적을 높이는 효과가 있었다. 케이지로 추간판 간격을 유지한 채로 추가적인 자가골과 동종골 이식은 안정적인 유합을 얻기 위한효과적인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겠다. 약칭 제목: 후방 추체간 유합술 시 이식골의 유합 양상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conduct an analysis of the union rate and union patterns of local autogenous bone grafts using metal cages, allogenic bone, and local autogenous bone around the cages in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PLIF).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Local autologous bone grafting using metal cages is regarded as an effective method for union during PLIF without iliac bone harvesting. There are few studies about the additional bone grafting except using metal cages. Materials and Methods: Thirty-nine patients (68 segments) with postoperative computed tomography (CT) results from 6 to 18 months after PLIF were included. We used 2 metal cages filled with local autogenous bone intraoperatively (region C). We also grafted allogenic bone between 2 cages (region A) and local autogenous bone at the side of the cages (region B). Retrospective analyses of the coronal CT sections were performed using the modified Bridwell criteria for assessing the presence of union. A quantitative evaluation was performed using a scoring system that assessed the proportion of radiopaque parts of the union mass. Results: Among the 68 segments, union was observed in 64 segments, resulting in a union rate of 95.6%. The union rates in regions A, B, and C were 86.8%, 89.7%, and 94.1%, respectively. Trabeculation and the quantitative evaluation of union bon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trend for improvemen
ISSN:2093-4378
2093-43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