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비부머 세대의 생활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 세대의 생활 스트레스와 심리적 웰빙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2개 지역 279명의 베이비부머들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척도, 심리적 웰빙 척도, 자기효능감 척도를 실시하였다. 예측변인인 생활 스트레스가 준거변인인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자기효능감이 매개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베이비부머세대의 생활 스트레스는 심리적 웰빙과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생활 스트레스와 심리적 웰빙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부분 매개...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Seuteureseu yeon-gu (Online) 2017, 25(2), , pp.98-104 |
---|---|
Hauptverfasser: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 세대의 생활 스트레스와 심리적 웰빙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2개 지역 279명의 베이비부머들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척도, 심리적 웰빙 척도, 자기효능감 척도를 실시하였다. 예측변인인 생활 스트레스가 준거변인인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자기효능감이 매개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베이비부머세대의 생활 스트레스는 심리적 웰빙과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생활 스트레스와 심리적 웰빙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부분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베이비부머 세대의 심리적 웰빙을 증진시키기 위한 실천방향과 개입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Backgound: This study is intended to administer stress scal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and self-efficacy scale in 279 baby boomers who were born from 1955 to 1963 residing in the P and U areas.
Methods: Pearson’s simple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efficacy, while hierarchical regression was us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suggested by Baron & Kenny (1986) to figure out how self-efficacy mediates the effect of life stress on psychological well-being.
Results: First, life stress in baby boomers has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efficacy;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self-efficacy has a partial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including family, economics, health and psychological well-being.
Conclusions: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whether interventions are required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baby boomers. KCI Citation Count: 7 |
---|---|
ISSN: | 1225-665X 2234-1668 |
DOI: | 10.17547/kjsr.2017.25.2.9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