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장 병변에 대한 초음파 유도 하 중심부바늘생검의 유용성 및 안전성
목적: 비장 병변에 대한 초음파 유도 하 중심부침생검(core needle biopsy)의 진단정확도 및 안전성에 대해 밝히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본 연구는 의료기관의 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을 거쳤다. 후향적 연구로서 2001년 1월부터 2006년 7월까지 18 G 혹은 20 G 바늘을 사용하여 비장 병변에 대해 침생검을 시행한 3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초음파 및 컴퓨터단층촬영을 통해 병변의 특성을 분석하였고, 비장 및 다른 장기에 시행된 병리 소견과 임상적 추적검사로 결정된 최종 진단을 참고기준(reference st...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2017, 76(5), , pp.303-309 |
---|---|
Hauptverfasser: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비장 병변에 대한 초음파 유도 하 중심부침생검(core needle biopsy)의 진단정확도 및 안전성에 대해 밝히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본 연구는 의료기관의 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을 거쳤다. 후향적 연구로서 2001년 1월부터 2006년 7월까지 18 G 혹은 20 G 바늘을 사용하여 비장 병변에 대해 침생검을 시행한 3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초음파 및 컴퓨터단층촬영을 통해 병변의 특성을 분석하였고, 비장 및 다른 장기에 시행된 병리 소견과 임상적 추적검사로 결정된 최종 진단을 참고기준(reference standard)으로 하여 조직획득률 및 진단정확도를 계산하였다. 시술 후 전자의무기록, 진단검사의학 결과 및 컴퓨터단층촬영을 분석하여 출혈 혹은 통증과 같은 합병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결과: 총 30명 중 29명의 환자가 비장의 국소 병변으로 검사를 시행하였고, 다른 한 명은 비장비대로 검사를 시행하였다. 조직획득률과 진단정확도는 각각 80.0%(24/30) 및 76.7%(23/30)로 확인되었다. 1명(3.3%)의 환자에서 시술 후 합병증으로 혈역학적 불안정성을 동반하지 않은 비장주위출혈(perisplenic hemorrhage)이 확인되었다.
결론: 비장 병변에 대한 초음파 유도 하 경피적 중심부침생검은 조직학적 진단을 함에 있어 안전한 방법이다. 비장절제술의 합병증의 위험이 높을 것으로 생각되는 환자에서 경피적 생검이 대안으로 고려될 수 있다. Purpose: To evaluate the safety and efficacy of ultrasound-guided percutaneous core needle biopsy of splenic lesions.
Materials and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30 patients who underwent percutaneous core needle biopsy of their splenic lesions using 18- or 20-gauge needles between January 2001 and July 2016 in a single tertiary care cent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lenic lesions were determined by reviewing the ultrasound and computed tomography examinations. Acquisition rate and diagnostic accuracy were calculated, using pathologic results of the splenectomy specimen, clinical course and/or imaging follow-up as a reference standard. Post-procedure complications were identified from electronic medical records, laboratory findings and computed tomography images. Seventy-three specimens were obtained from the 30 patients and splenectomy was performed in 2 patients.
Results: Twenty-nine of the 30 patients had focal splenic lesions, while the remaining patient had homogeneous splenomegaly. Acquisition rate and diagnostic accuracy were 80.0% (24/30) and 76.7% (23/30), respectively. Perisplenic hemorrhage without hemodynamic instability developed in one patient.
Conclusion: Ultrasound-guided percutaneous core needle biopsy of splenic lesions is a safe method for achieving a histopathologic diagnosis and can be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to splenectomy in patients with a high risk of splenectomy-related complication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2951-0805 |
DOI: | 10.3348/jksr.2017.76.5.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