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조직학적 염색에 의해 분류한유방암 기저형과 내강형의 생존율 분석

목 적 : 유방암은 이질적인 병으로 같은 병기의 환자들 중에서도 예후는 다양하게 나타난다. 그래서 유방암을 유전자의 형태에 따라서 4가지로 흔히 분류하여서 예후를 추정하는데 도움을 받고 있다. 이 4가지 유형중 에서 기저형은ER(-), PR(-), HER(-)의 표현형을 보이며 예후가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조사는 본원에서도 기저형의 세포유형이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방 법 : 2001년 1월부터 2006년 12월 까지 본원에서 유방암으로 수술을 한 56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Kosin Medical Journal (Online) 2008, 23(3), , pp.49-54
1. Verfasser: 류동원
Format: Artikel
Sprache:eng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 적 : 유방암은 이질적인 병으로 같은 병기의 환자들 중에서도 예후는 다양하게 나타난다. 그래서 유방암을 유전자의 형태에 따라서 4가지로 흔히 분류하여서 예후를 추정하는데 도움을 받고 있다. 이 4가지 유형중 에서 기저형은ER(-), PR(-), HER(-)의 표현형을 보이며 예후가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조사는 본원에서도 기저형의 세포유형이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방 법 : 2001년 1월부터 2006년 12월 까지 본원에서 유방암으로 수술을 한 56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의학적인 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기저형의 환자군을 GroupA로 그 외 유형의 환자군을 Group B로 하여서 양군을비교 분석 하였다. 임상 병리학적 인자를 중심으로 무병생존율에 미친 영향과 전체생존율에 영향을 미친 인자를 분석하였다결 과 : 103명의(16.9%) 환자가 기저형 이였다. 양 그룹간의 임상병리학적 인자의 분포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무병 생존률에 영향을 미치는 임상병리학적 인자는 종양의 크기(p=0.0297), 임파절의 전이유무(p=0.0262), PR양성율(p=0.0541) 이였다. 기저형의 세포유형은 무병생존률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 론 : 본원의 조사에서는 기저형의 세포유형이 무병생존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전체 생존율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왔다. 환자에 대한 추적기간을 계속해가면서 대상 환자의 수가 증가하게 되면 유방암의 세포유형에 따른 분류법은 유방암환자의 예후를 추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KCI Citation Count: 0
ISSN:2005-9531
2586-7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