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저각막절삭성형술을 시행받은 환자에서 섬유주절제술 후 발생한 미만층판각막염
목적: 레이저각막절삭성형술을 시행 받고 오랜 시간이 지난 환자에서 섬유주절제술 후 발생한 미만성 층판각막염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12년 전 양안 레이저각막절삭성형술을 시행 받은 54세 남자가 양안 원발 개방각녹내장을 진단 받고 약물치료를 받았으나 안압이 조절되지 않고, 시야결손이 진행되는 양상을 보여 좌안 섬유주절제술을 시행 받았다. 기존에 진행하지 않는 좌안 각막의 옅은 상피밑 혼탁이 있었으나 특별한 치료는 받지 않았다. 술 후 1일째 좌안 결막 단춧구멍이 관찰되었고 누출이 지속되어 술 후 4일째 국소 스테로이드제...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17, 58(1), , pp.87-92 |
---|---|
Hauptverfasser: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레이저각막절삭성형술을 시행 받고 오랜 시간이 지난 환자에서 섬유주절제술 후 발생한 미만성 층판각막염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12년 전 양안 레이저각막절삭성형술을 시행 받은 54세 남자가 양안 원발 개방각녹내장을 진단 받고 약물치료를 받았으나 안압이 조절되지 않고, 시야결손이 진행되는 양상을 보여 좌안 섬유주절제술을 시행 받았다. 기존에 진행하지 않는 좌안 각막의 옅은 상피밑 혼탁이 있었으나 특별한 치료는 받지 않았다. 술 후 1일째 좌안 결막 단춧구멍이 관찰되었고 누출이 지속되어 술 후 4일째 국소 스테로이드제 점안을 중지하였다. 술 후 7일째 안압 상승 없이 각막 중심 부근의 미만성 층판각막염이 발생하였으며 추가로 시행한 전안부빛간섭단층촬영상 각막 절편 아래 미만성 상피밑침윤 소견이 보였다. 국소 스테로이드제를 3시간 간격으로 2일 동안 점안하였으나 각막염이 호전되지 않아 1시간 간격으로 증량하여 점안하였고, 술 후 9일째부터 각막염이 호전되었다. 수술 2개월 후, 상피밑 층판 침윤의 호전을 보였으나 완전한 관해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레이저각막절삭성형술을 시행 받은 안에서 섬유주절제술 후 적절한 국소 스테로이드제 점안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미만성 층판각막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Purpose: In the present study, a case of diffuse lamellar keratitis after trabeculectomy in a patient who had received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many years prior is reported.
Case summary: A 54-year-old male diagnosed with binocular primary open-angle glaucoma underwent trabeculectomy in the left eye because of poor intraocular pressure control and visual field defect progression even with maximal medical treatments. Faint, non-progressing subepithelial opacities pre-existed in the left cornea but no treatment was administered. The patient had a history of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in both eyes 12 years prior. On the first postoperative day, conjunctival buttonhole was found and because leaking from the hole continued, topical steroid was discontinued on the fourth postoperative day. On the seventh postoperative day, diffuse lamellar keratitis developed on the central cornea without intraocular pressure elevation, and diffuse infiltration under the corneal flap was observed in the anterior segment o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topical steroid eye drops every 3 hours for the first 2 days and the frequency was increased to every hour because the keratitis did not improve. On the ninth postoperative day, keratitis began to improve and 2 months postoperatively, subepithelial lamellar infiltration improved significantly but did not show complete remission.
Conclusions: Diffuse lamellar keratitis can develop in an eye with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after trabeculectomy if appropriate treatment with topical steroid eye drops is not administered.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