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의 거대세포종에 동반된 동맥류성 골 낭종의 임상적 특징
목적: 골의 거대세포종 환자들 중에서 동맥류성 골 낭종 동반 유무에 따른 임상적 특징과 경과 및 예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3월부터 2013년 4월까지 골 종양으로 수술적 치료를 받고, 거대세포종으로 확진된 환자들 33예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임상적 특징으로 발생연령, 성별, 발생 위치, 종양 크기, 병적 골절 유무, Campanacci 등에 의한 종양 등급, 국소재발 및 전이, 그리고 악성화의 유무를 조사하였고, 이 항목들에 대해 동맥류성 골 낭종의 동반 여부에 따른 두 군 간에 차이가 있...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2016, 51(5), , pp.411-417 |
---|---|
Hauptverfasser: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골의 거대세포종 환자들 중에서 동맥류성 골 낭종 동반 유무에 따른 임상적 특징과 경과 및 예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3월부터 2013년 4월까지 골 종양으로 수술적 치료를 받고, 거대세포종으로 확진된 환자들 33예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임상적 특징으로 발생연령, 성별, 발생 위치, 종양 크기, 병적 골절 유무, Campanacci 등에 의한 종양 등급, 국소재발 및 전이, 그리고 악성화의 유무를 조사하였고, 이 항목들에 대해 동맥류성 골 낭종의 동반 여부에 따른 두 군 간에 차이가 있는지Student t-test 및 Fisher’s exact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국소재발은 전체 33예 중에서 6예에서 발견되었고 동맥류성 골 낭종이 동반된 군에서 3예, 그렇지 않은 군에서 3예로 통계적 의미를 둘 수 없었으며(p=0.643), 병적 골절은 전체 9예로 전자에서 7예, 후자에서 2예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3). 그 외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항목은 없었다.
결론: 거대세포종에서 동맥류성 골 낭종의 동반 유무에 따라 거대세포종의 국소 재발률은 차이가 없었으며 병적 골절의 경우 동맥류성 골 낭종이 동반된 군에서 더 높은 빈도로 발생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fference in clinical features, process, and prognosis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secondary aneurysmal bone cysts (ABCs) in patients with giant cell tumor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33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for giant cell bone tumors between March 2009 and April 2013 were selected. Data on clinical features were obtained from medical records and pathological and radiological review, including age, sex, location, and size of the tumor, and Campanacci grade, as well as whether there was any pathological fracture, local recurrence, distant metastasis, or malignant transformation. The Student t-test and Fisher exact test were used for comparison of the differences in clinical features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ABCs.
Results: Local recurrence occurred in 6 of the 33 cases, 3 each were in the groups with and without ABCs; however,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otal, nine cases had pathological fractures, seven were in the group with ABC and two were in the group without ABC (p=0.013).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sex, location and size of the tumor, or Campanacci grade were observed between the groups with and without ABCs.
Conclus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local recurrence between the groups with and without ABCs. However, pathological fracture occurred more frequently in the group with ABCs compared to the group without ABC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226-2102 2005-8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