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단면 두께의 얼굴 전산화단층촬영 사진을 이용하여 측정한 안와용적 비교
목적: 다양한 단면 두께로 촬영된 얼굴 전산화단층촬영 축영상과 관상영상 사진을 반자동화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안와 용적을 측정하여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 mm, 2.5 mm, 3 mm의 두께로 얼굴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한 30대 성인 남성 50명에 대하여, 안와 용적의 측정이 가능한 반자동화 프로그램(MATLAB 2009aⓇ)을 이용하여 얼굴 전산화단층촬영 사진의 축영상과 관상영상 사진 모두 안와 단면적을 각각 측정하였고, 측정 단면적을 누적하여 안와 용적을 계산하여 이를 비교 분석하여 보았다. 결과: 2 mm로...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16, 57(11), , pp.1671-1677 |
---|---|
Hauptverfasser: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다양한 단면 두께로 촬영된 얼굴 전산화단층촬영 축영상과 관상영상 사진을 반자동화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안와 용적을 측정하여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 mm, 2.5 mm, 3 mm의 두께로 얼굴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한 30대 성인 남성 50명에 대하여, 안와 용적의 측정이 가능한 반자동화 프로그램(MATLAB 2009aⓇ)을 이용하여 얼굴 전산화단층촬영 사진의 축영상과 관상영상 사진 모두 안와 단면적을 각각 측정하였고, 측정 단면적을 누적하여 안와 용적을 계산하여 이를 비교 분석하여 보았다.
결과: 2 mm로 측정한 축영상에서 우측 33.14 ± 2.37 cm3, 좌측 34.32 ± 2.60 cm3, 관상영상에서 우측 35.54 ± 3.58 cm3, 좌측 34.96 ± 4.05 cm3로 측정되었고, 2.5 mm 간격으로 측정한 축영상에서 우측 33.28 ± 3.35 cm3, 좌측 33.73 ± 4.10 cm3, 관상영상에서 우측 35.24 ± 3.98 cm3, 좌측 35.10 ± 3.93 cm3로 측정되었다. 3.0 mm 간격으로 측정한 축영상에서 우측 33.23 ± 2.70 cm3, 좌측 33.39 ± 2.69 cm3, 관상영상에서 우측 33.20 ± 3.64 cm3, 좌측 32.95 ± 3.45 cm3로 측정되었다. 2 mm 두께로 측정한 축영상을 제외하고 나머지 다섯 군에서 우측과 좌측의 안구 용적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단면 두께에 따른 측정값의 평균은 2 mm 간격의 축영상에서 33.73 ± 2.51 cm3, 관상영상에서 35.25 ± 3.76 cm3, 2.5 mm 간격의 축영상에서 33.50 ± 3.67 cm3, 관상영상에서 35.17 ± 3.88 cm3, 3 mm 간격의 축영상에서 33.31 ± 2.65 cm3, 관상영상에서 33.08 ± 3.48 cm3로 측정되어 촬영 간격이 3 mm인 축영상과 관상영상 사진으로부터 각각 측정한 안와 용적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3mm=0.62).
결론: 본 연구에서는 단면 두께와 관계 없이 축영상으로 측정한 안와 용적이 비슷하게 측정되어 축영상을 이용한 측정법이 안와 용적측정에 유용함을 증명하였다. 또한 넓은 단면(3 mm)으로 촬영한 전산화단층촬영의 사진이 좁은 단면(2 mm, 2.5 mm)으로 촬영한 전산화단층촬영의 사진보다 안구 용적 측정 시 높은 재현성을 보여 저자들이 고안한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안와 용적을 측정할 때는 3 mm 간격의 넓은 간격의 전산화단층촬영이 적절할 것이라 생각된다. Purpose: To compare the orbital volume calculated from various slice thickness facial computed tomography scans using a semi-automated computer program.
Methods: Axial and coronal scans of 2, 2.5, 3 mm slice thickness facial computed tomography scans were used to measure the orbital volume. The cross-sectional area was determined from each slice using a semi-automated computer program (MATLAB 2009a®, MathWorks, Inc., Natick, MA, USA), and then the volume was calculated from serial reconstruction of the cross sections.
Results: The measured value in the 2 mm images was 33.14 ± 2.37 cm3 in the right orbit and 34.32 ± 2.60 cm3 in the left orbit for the axial scans, and 35.54 ± 3.58 cm3 in the right orbit and 34.96 ± 4.05 cm3 in the left orbit for the coronal scans. In the 2.5 mm images, the values were 33.28 ± 3.35 cm3 in the right orbit and 33.73 ± 4.10 cm3 in the left orbit for the axial scans, and 35.24 ± 3.98 cm3 in the right orbit and 35.10 ± 3.93 cm3 in the left orbit for the coronal scans. In the 3 mm images, the values were 33.23 ± 2.70 cm3 in the right orbit and 33.39 ± 2.69 cm3 in the left orbit for the axial scans, and 33.20 ± 3.64 cm3 in the right orbit and 32.95 ± 3.45 cm3 in the left orbit for the coronal |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