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치과위생사협회 및 산하단체에서 제안한 한국 치위생학 연구의제 분포

치위생학이 독립적인 학문으로서 전문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연구의 세부영역이 확립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치위생학 관련 기관 중 대한치과위생사협회 및 그 산하단체를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이용하여 연구의제를 수집하여 연구요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델파이 조사는 대한치과위생사협회 및 산하단체 총 8개 기관의 기관장에게 유선으로 연구 목적을 설명하고 전자우편으로 델파이 설문지를 배포 및 수거하였다. 연구의제는 한국 치위생학 학문 분류와 미국 NDHRA의 분류를 이용하여 분류하였고, IBM SPSS를 이용하여 기관별 분류된 연구...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Chiwisaeng gwahakoeji 2016, 16(5), , pp.393-399
Hauptverfasser: 이가영, Ga-yeong Lee, 이선미, Sun-mi Lee, 김창희, Chang-hee Kim, 배수명, Soo-myoung Bae, 김남희, Nam-hee Kim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치위생학이 독립적인 학문으로서 전문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연구의 세부영역이 확립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치위생학 관련 기관 중 대한치과위생사협회 및 그 산하단체를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이용하여 연구의제를 수집하여 연구요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델파이 조사는 대한치과위생사협회 및 산하단체 총 8개 기관의 기관장에게 유선으로 연구 목적을 설명하고 전자우편으로 델파이 설문지를 배포 및 수거하였다. 연구의제는 한국 치위생학 학문 분류와 미국 NDHRA의 분류를 이용하여 분류하였고, IBM SPSS를 이용하여 기관별 분류된 연구의제 수에 차이가 있는지 교차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총 316개의 연구 의제가 수집되었다. 한국 치위생학 학문분류로 연구의제를 분류한 결과 ‘임상치위생(36.7%)’에 관련된 연구의제를 가장 많이 제안하였고, 기관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또 제시된 연구의제를 미국 NDHRA 분류로 분류한 결과 기관별 제시한 연구의제 수가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054),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27.8%)’에 관한 연구 의제가 가장 많았다. ‘기초치위생’에 관련된 연구요구는 대한치위생(학)과교수협의회에서 높았고, ‘임상치위생’에 관련된 연구요구는 한국치위생학회, 대한치과위생학회, 한국 치위생감염관리학회, 대한치과위생사협회 임상회에서 높았으며, ‘사회치위생’에 관련된 연구요구는 대한치과위생 사협회, 한국치위생과학회, 대한치과위생사협회 보건회에서 높았다. 이상의 결과 각 기관에서는 창설 목적과 유사한 연구의제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유사학문과 비교해보았을 때, 국내 치위생학관련 전문기관들은 비교적 기관별로 뚜렷한 특성 을 나타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즉, 치위생학 연구의 세부영역이 확립되기 위해서는 각 기관에서 치위생학 학문분류에 따른 특성을 뚜렷이 하고, 그에 맞는 연구의제를 제시해야 할 것이다. 또한 연구자들이 연구결과를 투고 시 본인의 연구영역을 미리 분류하게하여 세부영역을 확립하게 해야 할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realize research demands by gathering the research agenda from the Kore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and affiliated groups through a Delphi survey. The study subjects were the heads of eight groups. The Delphi survey was conducted by e-mail after a researcher explained the objective of the study to the heads. The research agenda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Korean dental hygiene academic classification and the National Dental Hygiene Research Agenda classification. To compare the number of research agendas according to classification among the groups, we conducted a chi-squared test by using IBM SPSS 20.0. In total, 316 agendas were submitted. According to the Korean dental hygiene academic classific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groups, and the agendas associated with clinical dental hygiene (36.7%) were the best. According to the National Dental Hygiene Research Agenda classific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nd the agendas associated with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27.8%) were the best. In conclusion, the Kore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and affiliated groups demanded similar research agendas, corresponding to the purpose of each establishment. However, the groups did not seem to show uniqu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each establishment. In other words, the groups should corroborate such characteristics and suggest a corresponding agenda to establish specific areas of
ISSN:1598-4478
2233-76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