헛개나무 선발개체 차대의 생장 및 엽특성
우량품종 육성을 위해 선발된 헛개나무 차대묘 20가계의 생장특성과 엽특성을 조사한 결과, 전체 평균 묘고는 61.6cm, 평균 근원직경은 6.98mm였으며, 가계별로는 KW 2-5 가계가 평균 묘고 79.3cm로 가장 우수한 생장을 보인 반면 근원직경에서는 JN 2-2 가계가 평균 9.16mm로 가장 우수한 생장을 나타내었다. 묘고와 근원직경에서 가장 우수한 생장을 보인 KW 2-5와 JN 2-2 가계는 가장 낮은 생장을 보인 가계들과 비교하여 각각 57%와 53%의 우수한 생장을 보였다. 묘고와 근원직경의 초기생장 상위 10% 가...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韓國資源植物學會誌 2007, 20(1), , pp.7-11 |
---|---|
Hauptverfasser: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우량품종 육성을 위해 선발된 헛개나무 차대묘 20가계의 생장특성과 엽특성을 조사한 결과, 전체 평균 묘고는 61.6cm, 평균 근원직경은 6.98mm였으며, 가계별로는 KW 2-5 가계가 평균 묘고 79.3cm로 가장 우수한 생장을 보인 반면 근원직경에서는 JN 2-2 가계가 평균 9.16mm로 가장 우수한 생장을 나타내었다. 묘고와 근원직경에서 가장 우수한 생장을 보인 KW 2-5와 JN 2-2 가계는 가장 낮은 생장을 보인 가계들과 비교하여 각각 57%와 53%의 우수한 생장을 보였다. 묘고와 근원직경의 초기생장 상위 10% 가계를 선발했을 때 KW 2-5와 JN 2-2 가계가 전체 가계 평균에 비해 125%의 선발 효과를 보였으며, 상위 20% 가계를 선발했을 때 KW 2-5, JN 2-2, KW 1-1, KW 1-15 가계에서 115%의 선발효과를 나타냈다. 한편, 엽장과 엽폭, 엽병길이와 엽병직경 및 엽형지수와 측맥수 등 6항목에 대하여 엽특성을 조사한 결과, 평균 변이계수는 9.4~42.4%로 나타나 변이 폭이 큰것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엽병길이와 엽병직경 특성의 변이계수가 각각 42.4%와 28.7%로 다른 특성들에 비해 큰 값을 나타냈다. 조사된 엽특성들은 모두 가계간 유의적 차이가 인정되었으며, 엽장과 엽형지수간 상관을 제외한 모든 특성들간의 상관에서는 정의상관 관계가 인정되었고 특히, 엽장과 엽폭특성간의 상관계수가 0.8049로 나타나 두 특성간에 매우 유의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by estimate of leaf characteristics and growth performance among selected 20 families progenies of Hovenia dulcis var. koreana Nakai. Mean seedling height and root-collar diameter in whole progenies showed 61.6cm, 6.98mm, respectively. Mean seedling height of KW 2-5 family was 79.3cm and it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families. JN 2-2 family had highest value, 9.16mm, in mean of root-collar diameter. Growth performances of KW 2-5 and JN 2-2 families showed 57% (in seedling height), 53% (in root-collar diameter) superior to those of lowest marked families. The selection level based on growth performances, which are seedling height over 75.0cm and root-collar diameter over 8.0mm, were applied on whole families, and two families selected (KW 2-5, JN 2-2). The selection effects from selected families was evaluated as 125% compared to the mean of whole families.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C.V) appeared wide range, 9.4~42.4%, in estimated leaf characteristics. Particularly, C.V of petiole length (PL) and petiole diameter (PD) showed 42.4% and 28.7%, respectively. Their were higher value than other leaf characteristics. Analysis of variance for all leaf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families. Also, there ha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ost leaf characteristics except the correlation between leaf length (LL) and leaf morphological index (LMI, LW/LL). Particularly, the correlation between leaf length and leaf width (LW)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
---|---|
ISSN: | 1226-3591 2287-8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