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령과 성별에 따른 정상 혈청 Gamma-glutamyltransferase와 관상동맥질환 위험인자와의 관계
혈중 gamma-glutamyltransferase (GGT)는 지금까지 간기능 장애와 대표적인 알코올 섭취 관련 지표로서 폭넓게 사용되어 왔다. 현재 다양한 질환과의 관련성이 밝혀지면서 그 관심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도의 음주군에 해당하는 대상자를 제외하고 GGT 수치가 정상 범위에 속하는 대상자들에서 GGT 수치에 따른 관상동맥 질환 위험 요인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연령과 성별에 따른 특성을 비교 검토 하였다. 분석 자료는 2011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였다(N=3,619). GGT(IU/L) 수준에 따라...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2016, 48(1), , pp.22-29 |
---|---|
Hauptverfasser: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혈중 gamma-glutamyltransferase (GGT)는 지금까지 간기능 장애와 대표적인 알코올 섭취 관련 지표로서 폭넓게 사용되어 왔다. 현재 다양한 질환과의 관련성이 밝혀지면서 그 관심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도의 음주군에 해당하는 대상자를 제외하고 GGT 수치가 정상 범위에 속하는 대상자들에서 GGT 수치에 따른 관상동맥 질환 위험 요인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연령과 성별에 따른 특성을 비교 검토 하였다. 분석 자료는 2011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였다(N=3,619). GGT(IU/L) 수준에 따라 사분 위수(quartile) 네 군으로 나누었을 때 GGT기준은 남성의 경우 순 서대로 10∼20, 21∼27, 28∼38, 39∼71 IU/L 이었고, 여성의 경우 각각 6∼12, 13∼16, 17∼22, 23∼42 IU/L 였다. 대부분의 변수 에서 평균치는 GGT 4분위수로 갈수록 수치가 높게 나타났으나, 남 성에서 연령과 저밀도콜레스테롤은 GGT 2분위수에서 수치가 가 장 높았다. FRS와 10년 관상동맥 질환 위험도는 남성에서 GGT 2 분위수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여성의 경우 GGT 4분위수에서 유의 하게 높았다. 여성의 경우 GGT 수준이 높아질수록 연령이 증가하였으나, 남성의 경우 GGT 2분위수에서 가장 높았다. 연령 70대에서 남성의 경우 1,2분위수 분포가 가장 많고, 여성의 경우 3,4분위수 분포가 많아 그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GGT 수치가 정상 범위에 속하더라도 GGT 수치가 증가함에 따라 여러 위험인자와 관련성이 있음을 증명하였다. 그러나 GGT 수치 증가와 함께 관상동맥질환 관련 수치와 10년 위험도 관련 예측치 증가에 대한 부분은 연령과 성별에 따라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Serum gamma-glutamyltransferase (GGT) has been widely used as a marker of alcohol intake and liver failure. Recently, the relativity between GGT and various diseases has been identified with growing interest. In this study, we examined relativity between GGT value and risk factors of coronary heart diseases among those with normal GGT value, excluding heavy drinkers. Specifically, we compared the differences based on age and gender. Data from the 2011 KNHNES were used (N=3,619). When the subject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quartile based on the serum GGT levels, there was 10∼20, 21∼27, 28∼38, 39∼71 IU/L in men, and 6∼12, 13∼16, 17 ∼22, 23∼42 IU/L in women. The mean of most variables was the highest in the 4th quartile (Q4), however age and LDL Cholesterol were the highest in the 2nd quartile (Q2) in men. The FRS and 10-year CHD risk was the highest in the 2nd quartile in men, and the highest in the 4th quartile in women. Increased GGT was correspondingly linked with age in women but age was the highest in GGT in the 2nd quartile in men. In the 70’s, the highest Q1 and Q2 was in men and the highest Q3 and Q4 in women. Although GGT value was within the normal range, increased GGT showed correlation with various risk factors. The FRS and 10-year CHD risk showed different patterns according to age and gender along with increased GGT value. |
---|---|
ISSN: | 1738-3544 2288-166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