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형 협심증 환자에서 증가된 염증 반응과 혈관 내피세포 기능저하의 연관성

배경 및 목적:혈관 내피세포 기능저하는 이형협심증의 여러 발생 기전중 하나로 보고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혈관 연축에 의하여발생되는 이형 협심증 환자에서 염증성 인자의 증가와 내피 세포기능과 관련성에 관한 보고는 드물다. 본 연구를 통해 내피세포의 기능을 반영하는 von Willebrand factor(vWF),FMD 및 염증성 인자의 증가와 이형 협심증과의 연관성을평가하고자 하였다.방 법:2005년 3월부터 2006년 7월까지 이형 협심증이 의심되어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하여 관상동맥 조영술 상 정상소견을 보였던 환자들을 대상으로...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Korean circulation journal 2007, 37(3), , pp.27-32
Hauptverfasser: 조숙희, 박인혜, 정명호, 황선호, 윤남식, 홍서나, 이상록, 김계훈, 문재연, 홍영준, 박형욱, 김주한, 안영근, 조정관, 박종춘, 강정채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배경 및 목적:혈관 내피세포 기능저하는 이형협심증의 여러 발생 기전중 하나로 보고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혈관 연축에 의하여발생되는 이형 협심증 환자에서 염증성 인자의 증가와 내피 세포기능과 관련성에 관한 보고는 드물다. 본 연구를 통해 내피세포의 기능을 반영하는 von Willebrand factor(vWF),FMD 및 염증성 인자의 증가와 이형 협심증과의 연관성을평가하고자 하였다.방 법:2005년 3월부터 2006년 7월까지 이형 협심증이 의심되어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하여 관상동맥 조영술 상 정상소견을 보였던 환자들을 대상으로 ergonovine 유발검사에서 양성반응을 보였던 환자를 I군(46예, 53.9±12.0세, 남자 20명, 여자 26명), 음성 반응을 보였던 환자를 II군(14예, 46.6±13.5세, 남자 7명, 여자 7명)으로 분류하여, 연축 유발검사 전에 시행한 혈액학적, 상완동맥 확장능 검사등을 비교하였다. 결 과: 내원 시 심혈관질환의 위험 인자 중 고혈압, 당뇨병, 흡 연, 고지혈증, 가족력 및 비만도 등은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von Willebrand factor(vWF) 수치는 I군이 II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166.5±41.9% vs. 118.0±65.3%, p=0.029). Monocyte count, hs-CRP 및 homocysteine 등도 I군이 II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 가하였다(554.7±261.0/mm3 vs. 440.7±136.0/mm3, p= 0.039, 0.3±0.4 mg/dL vs. 0.1±0.1 mg/dL, p=0.029, 7.5±4.0 μmol/L vs. 5.9±1.6 μmol/L, p=0.033). 상완 동맥에서 측정한 nitroglycerin-mediated vasodilation(NMD) 은 양군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flow-mediated va- sodilation(FMD)으로 측정한 혈관 내피세포 기능은 I군이 II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되었다(9.2±4.3% vs. 12.4± 4.2%, p=0.021). 결 론: 이형 협심증 환자에서 염증성 인자가 증가하고 혈관 내 피세포 기능이 저하되어 있었다. Background and Objectives:Endothelial dysfunction and increased vascular inflammation may be associatedwith variant angina (VA). However, their exact roles remain to be clarified. The aim of the presents study is toinvestigate whether the level of inflammation markers and the flow-mediated dilation (FMD) are related to VA.Subjects and Methods:The study included 46 patients (VA group: 53.9±12.0 years, 20 males) with positivespasm provocation tests and they were without significant coronary stenosis, and 14 patients (control group:46.6±13.5 years, 7 males) with negative spasm provocation tests and they were without significant coronary stenosis.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inflammatory markers, including the high sensitive C-reactive protein (hsCRP)level, the monocyte count and the von Willebrand factor (vWF) level, and the FMD were compared between thetwo groups. The FMD and inflammatory markers were measured in the morning before performing the ergonovineprovocation coronary angiogram. Results:The level of vWF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VA group than inthe control group (166.5±41.9% vs. 118.0±65.3%, respectively, p=0.029). The FMD was significantly decreasedin the VA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9.2±4.3% vs. 12.4±4.2%, respectively, p=0.021). Nitratemediateddilation did not differ between the two groups. The levels of the monocyte count, hs-CRP and homocysteinewere higher
ISSN:1738-5520
1738-55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