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상 동맥 경화증 환자에서의 혈청 지질 농도와 경동맥 내막두께와의 연관성
배경 및 목적:죽상동맥 경화증의 위험 요인중 하나인 고지혈증과 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상관성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이미 죽상 동맥 경화증의 하나인 관상 동맥 경화증이 있는 환자에서도 혈청 지질과 경동맥 내중막 두께와의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고, 경동맥의 내막, 중막과 내중막 두께에 대한 혈청 지질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방 법:관상 동맥 조영술에서 관상동맥 경화증이 증명된 연속적인 139명의 환자를 대상(평균 58세, 안정형 협심증 78명, 급성관동맥증후군 32명, 기타 심장질환 29명)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에서...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Korean circulation journal 2007, 37(8), , pp.380-384 |
---|---|
Hauptverfasser: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배경 및 목적:죽상동맥 경화증의 위험 요인중 하나인 고지혈증과 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상관성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이미 죽상 동맥 경화증의 하나인 관상 동맥 경화증이 있는 환자에서도 혈청 지질과 경동맥 내중막 두께와의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고, 경동맥의 내막, 중막과 내중막 두께에 대한 혈청 지질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방 법:관상 동맥 조영술에서 관상동맥 경화증이 증명된 연속적인 139명의 환자를 대상(평균 58세, 안정형 협심증 78명, 급성관동맥증후군 32명, 기타 심장질환 29명)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에서 고혈압 67명, 당뇨병 27명, 흡연력 41명과 고지혈증 50명이 관찰되었다. 경동맥 내중막과 내막과 중막 두께의 분리 측정을 위해서 본원과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공동 개발한 새로운 software를 이용하여 반자동화 측정법을 이용해서 측정하였다.
결 과:
경동맥 내중막 두께는 총콜레스테롤(r=0.207, p=0.015)과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r=0.237, p=0.006)과 상관성이 있었고 경동맥 내막두께는 총콜레스테롤(r=0.210, p=0.020), 중성지방(r=0.212, p=0.018), 그리고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r=0.246, p=0.006)과 상관성이 있었으나 경동맥 중막두께는 혈중 지질 농도 어느 것과도 상관성이 없었다. 다변수 분석을 통해서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이 관상동맥질환을 가진 환자에 있어서 내막(β=0.200, p=0.031)과 내중막(β=0.237, p=0.006)의 두께에 영향을 끼치는 인자가 될 수 있으나 경동맥 중막 두께와는 상관 관계가 없었다.
결 론:
관상동맥 질환이 있을 때에도 혈중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농도에 따른 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차이가 있으며, 특히 경동맥 내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Background and Objectives:It's not clear whether the serum lipid level is associated with the individual carotid arterial wall thickness for patients suffering with coronary atherosclerosis, although hypercholesterolemia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carotid IMT. We sought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erum lipid level and the individual carotid arterial wall thickness (intimal thickness (IT) and medial thickness (MT)) as well as the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IMT) for patients with coronary atherosclerosis. Subjects and Methods:The carotid arterial wall thickness was measured using high-resolution B-mode ultrasound in 139 consecutive patients (58±11 years old, 75 males) with coronary atherosclerosis by performing coronary angiography. Results:Measurement of the individual arterial wall thickness was possible in 126 patients (90.6%) out of all the study subjects. The carotid IMT was correlated with the total cholesterol (r=0.207, p=0.015) and low-density lipoprotein (LDL) cholesterol (r=0.237, p=0.006). The carotid IT was correlated with the total cholesterol (r=0.210, p=0.020), triglyceride (r=0.212, p=0.018), and LDL-cholesterol (r=0.246, p=0.006), whereas the M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serum lipid level. Multivariate analysis disclosed that the serum LDL cholesterol level was associated with the carotid IMT and IT for the patients with coronary atherosclerosis, but it was not correlated with the MT. Conclusion: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erum LDL cholesterol level is mo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carotid IT than the IMT for pat |
---|---|
ISSN: | 1738-5520 1738-555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