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외막 산소화 장치를 이용한 순차적 양측 폐이식 수술 치험 −1예 보고
양측 폐이식 수술 중 공여자 또는 수혜자 폐의 기능 부전으로 저산소증이 유발되는 경우 인공폐의 도움을 필요로 하게 되는데 대개는 심폐기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기존의 심폐기는 고용량의 헤파린 사용으로 출혈의 위험이 크며 심폐기 회로에 의한 보체 활성화는 조기 이식폐 부전을 일으킬 수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체외막 산소화 장치는 산소화를 충분히 보조하면서 저용량의 헤파린으로도 유지가 가능하다. 본 저자들은 대퇴정맥을 통해 정맥-정맥간 체외막 산소화 장치 보조 하에 순차적 양측 폐이식 수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Journal of chest surgery 2010, 43(1), 294, pp.96-99 |
---|---|
Hauptverfasser: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양측 폐이식 수술 중 공여자 또는 수혜자 폐의 기능 부전으로 저산소증이 유발되는 경우 인공폐의 도움을 필요로 하게 되는데 대개는 심폐기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기존의 심폐기는 고용량의 헤파린 사용으로 출혈의 위험이 크며 심폐기 회로에 의한 보체 활성화는 조기 이식폐 부전을 일으킬 수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체외막 산소화 장치는 산소화를 충분히 보조하면서 저용량의 헤파린으로도 유지가 가능하다. 본 저자들은 대퇴정맥을 통해 정맥-정맥간 체외막 산소화 장치 보조 하에 순차적 양측 폐이식 수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에 대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Artificial lung support may be necessary in various conditions during the performance of bilateral lung transplantation, and cardiopulmonary bypass (CPB) has usually been used. Yet using the conventional CPB techniques may increase risk of bleeding and early allograft dysfunction due to the large dosages of heparin and the complement activation.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is able to support gas exchange and maintain the hemodynamics without administering high-dose heparin for anticoagulation. We performed sequential bilateral lung transplantation with ECMO support. ECMO is a valuable tool when performing lung transplantation and it has the potential to replace CPB.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2765-1606 2765-1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