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차성 수부 다한증에서 교감신경절제술 후 교감신경 피부반응 검사의 효용성
배경: 일차성 수부다한증 환자에서 교감신경절제술 전후의 교감신경 작용의 변화를 정확하게 비교 평가할 수 있는 표준화된 수단이나 변수가 없다. 저자들은 선택적인 흉부 교감신경 절제술 전후의 교감신경차단의 효과를 평가하는 방법으로서의 교감신경 피부반응 검사에 대한 효율성을 측정하였다. 대상 및 방법: 일차성 수부다한증으로 진단 받은 12명의 환자에서 교감신경 피부반응을 확인하였다. 교감신경 피부반응은 좌측 손목과 발목에 전기적 자극을 준 후 우측 손바닥이나 발바닥에서 측정하였고, 반대 편에 대해서도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검사는 선...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Journal of chest surgery 2009, 42(6), 293, pp.738-743 |
---|---|
Hauptverfasser: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배경: 일차성 수부다한증 환자에서 교감신경절제술 전후의 교감신경 작용의 변화를 정확하게 비교 평가할 수 있는 표준화된 수단이나 변수가 없다. 저자들은 선택적인 흉부 교감신경 절제술 전후의 교감신경차단의 효과를 평가하는 방법으로서의 교감신경 피부반응 검사에 대한 효율성을 측정하였다. 대상 및 방법: 일차성 수부다한증으로 진단 받은 12명의 환자에서 교감신경 피부반응을 확인하였다. 교감신경 피부반응은 좌측 손목과 발목에 전기적 자극을 준 후 우측 손바닥이나 발바닥에서 측정하였고, 반대 편에 대해서도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검사는 선택적 흉부 교감신경 절제술 이전, 절제술 시행 후 2주 그리고 1년 후에 시행하였다. 검사 자료는 발생 잠복기와 교감신경 피부반응의 크기에 대하여 보정하였다. 결과: 평균 연령은 24.6±0.4세(19∼36세)이었으며, 남녀 성비는 1:0.7이었다. 손바닥(n=24)의 술전, 술후 2주, 1년의 교감신경 피부반응의 평균 잠복기와 진폭은 각각 1.46±0.24 msec와 6,043±2,339μV, 1.63±0.42 msec와 823±638μV, 1.44±0.39 msec와 2,412±1,546μV이었으며, 발바닥(n=24)은 각각 1.83±0.42 msec와 2,816±1,694μV, 2.16±0.39 msec와 1,445±1,281μV, 1.95±0.25 msec와 1,622±865μV이었다. 교감신경 피부반응검사상 손바닥에서의 진폭의 감소성 변화는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었다(p=0.002). 결론: 수부다한증으로 흉부교감신경 절제술을 받은 환자의 수술 전후 시행한 흉부 교감신경 피부반응 검사에서 진폭은 교감신경의 기능과 연관이 있으며 특히 한 개체 내에서 교감신경의 기능변화를 추적 관찰하는 데에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There is no standardized tool and parameter that can accurately assess the sympathetic function before and after performing sympathectomy in patients with primary palmar hyperhidrosis. We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the sympathetic skin response (SSR) study for documenting the change of sympathetic denervation before and after performing selective thoracic sympathicotomy. Material and Method: We prospectively investigated the SSR from 12 healthy subjects who were diagnosed with primary hyperhidrosis. Each SSR was recorded on the right palm or sole with electrical stimuli applied to the skin at the left wrist and foot and vice versa for the controlateral side. This test was performed before, 2 weeks and 1 year after selective thoracic sympathicotomy. The data was corrected for the onset latency and the amplitude of the SSR (n=24). Result: The mean age of the 12 patients was 24.6±0.4 years (range: 19∼36) and the gender ratio was 1:0.7. The mean values of the preoperative, postoperative 2 weeks and postoperative 1 year onset latency and amplitude of the palmar side (n=24) were 1.46±0.24 msec and 6,043±2,339μV, 1.63±0.42 msec and 823±638μV, and 1.44±0.39 msec and 2,412± 1,546μV, respectively. The mean values of the plantar side (n=38) were 1.83±0.42 msec and 2,816±1,694μV, 2.16±0.39 msec and 1,445±1,281μV and 1.95±0.25 msec and 1,622±865μV, respectively. Among the documented parameters, only the palmar amplitude (p=0.002)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recording the change of the sympathetic system within the same individual for the pre and postoperative period. Conclusion: The SS |
---|---|
ISSN: | 2765-1606 2765-1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