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대학생들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개념도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이 경험하는 임상실습 스트레스요인에 대한 개념구조를 확인하는 것이다. 남자 간호대학생 10명, 여자 간호대학생 10명을 면담하였고 결과적으로 208개의 아이디어를 산출하였다. 이를 합성하고 교정하여 최종 진술문으로 39개 문항을 정리하였다. 다음단계로 연구참여자가 39개 최종진술문을 분류하고 5점 척도로 스트레스 정도를 점수로 매겼다. 다차원척도방법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통해 차원과 군집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대인관계-실습시스템’, ‘정체성-실습환경’의 두 차원과, ‘역할 혼동’, ‘성차별’, ‘...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Kanho Haengjŏng Hakhoe chi =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014, 20(4), , pp.394-404 |
---|---|
Hauptverfasser: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이 경험하는 임상실습 스트레스요인에 대한 개념구조를 확인하는 것이다. 남자 간호대학생 10명, 여자 간호대학생 10명을 면담하였고 결과적으로 208개의 아이디어를 산출하였다. 이를 합성하고 교정하여 최종 진술문으로 39개 문항을 정리하였다. 다음단계로 연구참여자가 39개 최종진술문을 분류하고 5점 척도로 스트레스 정도를 점수로 매겼다. 다차원척도방법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통해 차원과 군집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대인관계-실습시스템’, ‘정체성-실습환경’의 두 차원과, ‘역할 혼동’, ‘성차별’, ‘의료인․환자태도’, ‘동료학생 간 비교’, ‘이론과 실무의 차이’, ‘실습지도자 역할 미확립’, ‘실습몰입 방해’, ‘실습환경문제’ 의 8군집이 도출되었다. 또한, 성별에 따라서도 경험하는 스트레스 요인과 수준에 차이가 있었다. 임상실습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교육자와 실습지도자들은 본 연구에서 나타난 스트레스 요인을 고려함으로써 교육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nceptual structure of stressors experienced by nursing studentsduring clinical practice. Methods: Ten men and 10 women nursing college students were interviewed. The resultswere 208 ideas. By synthesizing and editing these ideas, the final statement was trimmed down to 39 questions.
The next step was to have the participants classify these 39 final questions. They were asked to rate stress scoresusing a five-point scale. Through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yielded dimensionsand clusters. Results: Results of the study showed 2 dimensions which were classified as ‘interpersonalrelationship-practice system’ and ‘identity-practice environment’. It also yielded 8 clusters which were classified as‘role confusion’, ‘gender discrimination’, ‘attitudes of medical personnel and patients’, ‘comparison between fellowstudents’, ‘difference between theory and practice’, ‘disestablishing the role of practice guide’, ‘interference withtraining’, and ‘problems of the practice environment’. Further, stress factors and stress levels were differentiateddepending on the gender of the student.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educators who are developingclinical practice programs and clinical practitioners should consider stressors during clinical practice and the educationalimplications to nursing students. KCI Citation Count: 18 |
---|---|
ISSN: | 1225-9330 2288-4955 |
DOI: | 10.11111/jkana.2014.20.4.39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