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탄 파편으로 인한 이차성 담도 폐쇄
폐쇄성 황달은 주로 총담관 내 결석, 담관암,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이나 수술 후 담관 협착증 같은 염증이나 감염, 전이성 림프절증, 췌장암, 간암, 췌장염, 혈관 확장 등에 의한 외부 압박 등으로 발생된다. 그러나 이물질로 인한 이차성 폐쇄성 황달이 발생되는 경우는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 등은 76세 남자에서 발생한 폭탄 파편에 의한 이차성 폐쇄성 황달을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환자는 52년 전 6.25 전쟁 때 폭탄 파편을 맞은 후 무증상으로 지내다가, 3년 전 우상복부 동통을 주소로 내원하여 간...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Clinical endoscopy 2003, 26(4), , pp.236-239 |
---|---|
Hauptverfasser: | ,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폐쇄성 황달은 주로 총담관 내 결석, 담관암,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이나 수술 후 담관 협착증 같은 염증이나 감염, 전이성 림프절증, 췌장암, 간암, 췌장염, 혈관 확장 등에 의한 외부 압박 등으로 발생된다. 그러나 이물질로 인한 이차성 폐쇄성 황달이 발생되는 경우는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 등은 76세 남자에서 발생한 폭탄 파편에 의한 이차성 폐쇄성 황달을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환자는 52년 전 6.25 전쟁 때 폭탄 파편을 맞은 후 무증상으로 지내다가, 3년 전 우상복부 동통을 주소로 내원하여 간내 이물질 진단 받았으나 추적 관찰이 되지 않았다. 심와부 동통의 재발 및 황달을 주소로 내원하여 복부 전산화단층촬영 및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조영술로 총담관 내 파편 및 결석 진단 후 성공적으로 내시경적 제거한 후 경과 관찰 중이다. Obstructive jaundice primarily results from choledocholithiasis, neoplasm, inflammation and infection such as primary sclerosing cholangitis, postsurgical stricture, AIDS cholangiopathy, extrinsic compression of the biliary trees. However, obstructive jaundice secondary to foreign bodies is rare. Especially, shrapnel induced biliary obstruction is very rare and has never been reported in Korea. We report a patient who had biliary obstruction due to metal shrapnel. He had shrapnel injury 52 year ago during the Korean War. For a long time, he had had no symptoms. He was admitted to our hospital for epigastric pain and jaundice. Abdominal CT scan showed a metallic foreign body in the common bile duct. The patient underwent ERCP, and the shrapnel and several stones were successfully extracted with a basket.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03;26:236-239) KCI Citation Count: 1 |
---|---|
ISSN: | 2234-2400 2234-244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