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내 거대 위석의 아르곤 플라즈마를 이용한 내시경 분쇄제거 치료 1예

위석은 위장관 내에서 음식물이나 이물질이 장기간 소화되지 못하고 축적되면서 위 내용물과 같은 내재성 물질과 혼합되어 응결 결석을 형성한 것으로, 최근 내시경 시술의 눈부신 발전으로 위석 제거의 많은 경우에서 이전의 수술 방법이 비수술 내시경 요법으로 대치되고 있다. 내시경 제거술에서 거대 위석의 경우에 내시경용 겸자나 올가미, 수압쇄석술, 레이저 등을 이용하여 위석을 분쇄하여 제거한 치료 예들이 보고되고 있는데, 아직 아르곤 플라즈마를 이용한 위석의 분쇄제거 예는 국내에 보고되어 있지 않다. 아르곤 플라즈마 응고 소작술은 이온화된...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Clinical endoscopy 2007, 34(2), , pp.88-93
Hauptverfasser: 하병욱, 김지훈, 서영탁, 김미진, 함영환, 배상수, 주형준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위석은 위장관 내에서 음식물이나 이물질이 장기간 소화되지 못하고 축적되면서 위 내용물과 같은 내재성 물질과 혼합되어 응결 결석을 형성한 것으로, 최근 내시경 시술의 눈부신 발전으로 위석 제거의 많은 경우에서 이전의 수술 방법이 비수술 내시경 요법으로 대치되고 있다. 내시경 제거술에서 거대 위석의 경우에 내시경용 겸자나 올가미, 수압쇄석술, 레이저 등을 이용하여 위석을 분쇄하여 제거한 치료 예들이 보고되고 있는데, 아직 아르곤 플라즈마를 이용한 위석의 분쇄제거 예는 국내에 보고되어 있지 않다. 아르곤 플라즈마 응고 소작술은 이온화된 아르곤 가스 빔을 통한 고주파 전류 전도로써 응고소작을 시행하는 비접촉성 응고 소작술로, 시술 중 출혈이 적고 시술이 용이하다. 또한 레이저 치료에 비해 비용이 적게 들며 주위 조직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일정한 온도유지로 위장관 천공 등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저자들은 상복부 통증을 주소로 내원한 71세 남자 환자의 위 체부에 발생한 11×11×8 cm의 거대 식물위석을 내시경을 통해 아르곤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합병증 발생 없이 안전하게 분쇄 제거한 1예를 경험하였기에 위석 및 아르곤 플라즈마 응고소작술에 대한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Bezoars are persistent concretions of indigestible material that are usually found in the stomach. With the significant development of endoscopic techniques, many authors have reported the removal of bezoars using methods such as endoscopic forceps, snares, electrohydraulic lithotripsy, laser. However, there are no reports of using argon plasma to remove a bezoar in Korea. Argon plasma coagulation is a non-contact electrosurgical technique, which is an inexpensive, easily learned, and effective method in gastrointestinal endoscopy. In addition, this method is associated with a decreased risk of perforation and tissue damage by maintaining a controllable depth of coagulation. We report a 71-year-old man with a 11×11×8 cm sized huge gastric phytobezoar found by endoscopy. The bezoar was broken into pieces using the argon plasma coagulator. Endoscopic forceps and a basket were then used to crush and extract its fragments. The bezoar was removed safely without any complications. We report this case with a review of the relevant literature.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07;34:88-93) KCI Citation Count: 5
ISSN:2234-2400
2234-2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