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이지장 궤양을 동반한 중복 유문 1예

중복 유문은 십이지장 구부와 위 전정부 사이를 연결하는 교통로인 유문륜이 두 개인 드문 위장관 기형 중 하나이다. 중복 유문의 원인은 게실이나 낭종 등에 의한 선천적인 경우와 소화성 궤양 등에 의한 후천적인 경우로 생각할 수 있으나 명확하진 않다. 7년 전 시행한 상부 위장관 내시경 검사에서 만성 위염 외에 특이 소견이 없었던 68세 남자 환자가 상복부 통증과 소화 불량을 주소로 본원에 내원하였다. 내시경 검사에서 십이지장 궤양과 함께 중복 유문이 관찰되었고 3개월 후 시행한 추적 내시경 검사에서 십이지장 궤양은 치유되었으나 중복...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Clinical endoscopy 2007, 35(2), , pp.96-99
Hauptverfasser: 이지연, 이현정, 이종섭, 현진남, 김소미, 김석영, 이원준, 최승진, 전일영, 오동준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중복 유문은 십이지장 구부와 위 전정부 사이를 연결하는 교통로인 유문륜이 두 개인 드문 위장관 기형 중 하나이다. 중복 유문의 원인은 게실이나 낭종 등에 의한 선천적인 경우와 소화성 궤양 등에 의한 후천적인 경우로 생각할 수 있으나 명확하진 않다. 7년 전 시행한 상부 위장관 내시경 검사에서 만성 위염 외에 특이 소견이 없었던 68세 남자 환자가 상복부 통증과 소화 불량을 주소로 본원에 내원하였다. 내시경 검사에서 십이지장 궤양과 함께 중복 유문이 관찰되었고 3개월 후 시행한 추적 내시경 검사에서 십이지장 궤양은 치유되었으나 중복 유문은 지속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저자들은 십이지장 궤양에 의해 후천적으로 발생된 중복 유문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Double pylorus is a rare abnormality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and it presents as two openings between the gastric antrum and the duodenal bulb. The acquired type is more common than the congenital one and this acquired type arises secondary to peptic ulcer disease. A 68-year-old man visited the gastrointestinal clinic and he presented with chronic epigastric pain and dyspepsia. Upper endoscopy showed double pylorus with an accessory channel on the lesser curvature side of the prepyloric antrum and also an active duodenal ulcer. Upon review of the patient's past history and examination, the findings of the upper endoscopy that was done 7 years previously were within the normal limits. The patient was diagnosed as having a double pylorus secondary to duodenal ulcer and he treated conservatively with anti-ulcer therapy. We report here on a case of double pylorus along with the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07;35:96-99) KCI Citation Count: 1
ISSN:2234-2400
2234-2443